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10일 서울 민주노총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학교비정규직문제에 대한 해법을 내놓지 않으면 119일 전국의 학교에서 쟁의행위에 돌입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리원, 청소원, 사서 등으로 이루어진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은 연대회의를 구성해 처우개선과 고용안정을 위해 호봉제를 도입하고 교육감이 직접고용할 것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진보교육감이 있는 서울·강원·경기·전남·광주·전북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역의 교육청들은 학교비정규직의 사용자가 교육감이라는 고용노동부의 해석을 무시하고 단체교섭에 나서지 않고 있다.

 

게다가 이달 2일 교육과학기술부는 2014년까지 학교비정규직을 전원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은 학교비정규직원 신분안정 및 처우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연대회의는 이에 무기한 비정규직으로 만들려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연대회의 이태의공동대표는 학교비정규직의 정규직화법안을 야당과 함께 준비하는 등 우리의 요구를 알리고 있지만 정부는 교섭에 응하지 않는 등 묵묵부답이라며 비정규직철폐를 위해 조합원들과 총파업투쟁을 결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기자회견과 동시에 쟁의대책위원회를 발족해 24일부터 노조대표자를 중심으로 국회앞 단식농성을 벌이고, 다음달 3일 서울시청광장에서 조합원 1만여명과 함께 집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서울상경투쟁에서도 정부가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이들은 9일 전면총파업에 돌입한다.

 

연대회의소속 조합원은 전국 초··고등학교 12천여곳중 8천여곳에 분포해 있어 학교현장에서 큰 혼란이 예상된다.

 

이예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