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노조와 정치권이 1일 홈플러스대주주 MBK파트너스에 점포매각과 구조조정 등이 포함된 회생계획서를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이용우 의원과 민주노총마트산업노조는 1일 국회소통관에서 홈플러스기업회생신청관련기자회견을 열고 <MBK가 사실상 청산을 전제로 회생을 추진하고 있다>고 고발했다.

이들은 <홈플러스회생은 단지 한 기업 문제가 아닌 유통산업전반의 고용위기>라며 점포매각, 사업부매각, 구조조정이 없는 회생계획서 제출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요구했다.

강의원은 <MBK의 회생신청은 노동자는 안중에도 없는 자본논리의 폭력>이라며 <고용보장을 내세우면서 수십km 떨어진 타지역으로 전환배치하는 건 사실상 고용유기>라고 규탄했다.

이의원도 <MBK가 홈플러스를 차입금으로 인수한 뒤 실적개선보다 자산매각을 통한 이익회수에 집중해왔다>며 <16개점포가 이미 폐점된 가운데 또다시 4개점포매각계획이 드러난 만큼, 이번 회생은 사실상 청산으로 귀결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MBK의 회생의지가 진심이라면 고용안정협약체결 등 구체적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수용마트노조홈플러스지부장은 <매장명단이 회생계획서에 포함될까 불안해하는 직원들이 많다. 심지어 일부는 퇴직연금조차 확인할수 없어 조기퇴사하고 있다>며 <노동자생존권이 지켜져야 홈플러스도 살아날수 있다>고 토로했다.

최대영온라인배송지회사무국장은 <우리는 홈플러스 로고를 달고 유니폼을 입고 있지만 정작 직원이 아닌 특수고용노동자>라며 <홈플러스성장의 일선에서 일해왔음에도 고용안정은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고 성토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3월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은 최근 MBK가 신용등급하향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사실확인에 나섰다.

아울러 노조는 MBK가 신용등급하향을 사전에 인지하고 청산계획을 세웠을 것으로 의심하고 MBK측에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노조는 다음달1일 홈플러스정상화를 촉구하는 국민대회를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