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에 빚을 낸 38만가구가 보유한 집을 팔아도 빚을 다 못 갚거나 현재 소득의 40%이상을 원리금상환에 쏟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강준현더불어민주당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가계부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금융부채고위험가구는 모두 38만1000가구로 나타났다. 전체 금융부채보유가구 가운데 3.2%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이 크고(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초과),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상환이 어려운(자산대비부채비율·DTA 100%초과) 차주를 고위험가구로 분류한다.

고위험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는 전체금융부채의 6.2%인 69조4000억원에 이른다. 고위험가구수는 2020년말(40만3000가구)보다 줄었지만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37만6000가구)과 비교했을 때 5000가구가 증가했다.

고위험가구보다 범위가 넓은 <취약차주>는 확연한 증가세를 보였다. 취약차주는 여러 금융기관에서 빚을 낸 저소득자(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자(신용점수 664점이하)를 의미한다. 취약차주비중은 지난해 2분기말 6.3%에서 같은 해 연말 6%로 하락했지만 올해 다시 올라 2분기 6.3%를 기록했다.

한편 추가기준금리인상이 예고돼 금융취약차주의 이자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상당수가계는 아파트 등 부동산에 돈이 몰려있어 집값이 하락하면 타격은 배로 커질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남코리아가계자산의 86%는 부동산이다.

분석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5%p만 뛰어도 전체대출자의 이자는 6조5000억원이 늘어난다. 늘어난 이자의 3000억원은 취약차주, 나머지 6조2000억원은 비취약차주가 감당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전체대출자의 연간이자는 평균 32만7000원 증가한다.

만일 한은이 10월에 이어 11월까지 빅스텝에 나설 경우 이자는 2달사이 13조원 급증한다. 금리가 1%p 상승하면 전체대출자의 이자부담액은 65만5000원, 취약차주는 51만8000원씩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