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골드버그 전주콜롬피아대사, 주남미대사 내정

26일 청와대에 따르면 <주남미대사내정자가 우리 정부에 통보됐다>라며 <통상 상대국에 대사를 내정하고 우리 정부에 통보해서 동의를 받는 절차가 있고, 이후 미국상원인준, 임명, 신임장제정 순으로 절차가...

전교조 등 110개단체, <2022평화・통일교육정책제안> 발표 

25일 전교조 등 110개 단체가 참여한 평화・통일교육정책제안발표회준비위원회가 2022 평화・통일교육정책제안발표회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박미자준비위원장, 전희영전국교직원노동조합위원장, 오은정전국교직원노동조합통일위원장, 송영길더불어민주당대표 등이 참석하고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가. 후원했다.  발표회는 평화・통일교육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남북경협사업가 김호대표 국가보안법위반으로 법정구속

25일 남북경협사업가 김호에이치비이노베이션대표가 1심에서 국가보안법위반(자진지원·금품수수) 등 혐의로 징역 4년과 자격정지 4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김대표는 2000년대초반부터 정부승인을 받아 정상적으로 남북경제협력사업을 해왔지만 2018년 돌연 <군사기밀자진지원>이라는 명목으로 긴급체포·구속됐다....

외교부 <일대사 설선물거부 … 독도는 명백한 우리 영토>

22일 외교부는 <주남일본대사관이 문재인대통령의 설선물에 독도로 보이는 그림이 그려져있다는 이유로 수령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에 외교부는 <독도는 명백한 우리 영토>라며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중국・러시아 반대로 유안안보리 대북제재무산 

20일 미국뉴욕유엔본부에서 유엔안보리는 북코리아의 미사일개발과 관련한 비공개회의를 열었다. 미국과 유럽은 대북제재결의를 제안했으나 중국・러시아가 이를 연기시켰다.  제재안은 안보리 15개 이사국의 반대가 없으면 자동확정될 예정이었으나 중국과 러시아가...

외교부, 중미북핵수석대표들과 유선협의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노규덕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미국과 중국의 북핵수석대표와 북한의 핵·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모라토리엄(시험유예) 철회시사에 대해 유선협의를 가졌다. 이들은 유선협의에서 코리아반도문제는 오직 대화와 외교를 통해서만 진전이 가능하다는 공통된 인식을...

<미국의 패권정책에 반대하는 공동행동 추진하자> … 6.15남측・해외위원회 비대면신년모임 

19일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와 해외측위원회가 2022 신년모임을 비대면으로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모임을 통해 한 해 결의를 다졌다.  6.15공동선언실천민족공동위원회는 회의에서 사업방향과 관련해 <미국의 패권정책과 부당한 압력에 반대하는 공동행동>, <남북관계개선과...

중국외교부 <유엔안보리, 중국이 제안한 프로세스에 맞춰 대북결의해야>

19일(현지시간) 자오리젠중국외교부대변인이 <유엔안보리는 대북제재결의초안을 논의한 적 없다>라며 <우리는 안보리성원들이 장기적이고 대승적으로 현상황을 세밀하고 신중하게 보고 코리아반도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춰 중국이 제출한 제안을...

주유엔미국대사 <대북압박 계속강화할 것> 

18일(현지시각) 린다토마스그린필스주유엔미국대사가 <우리는 대북압박을 계속 강화할 것이며 그들의 공격은 유엔안보리결의위반이다>고 말했다.  미국현지매체 AFP통신은 <미국이 20일 유엔안보리비공개회의를 소집해 북코리아의 미사일발사시험을 다룰 예정이다>고 보도했다.  앞서 10일 유엔안보리긴급회의에서 북의...

여당・정부, 군사시설보호구역 일부해제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지난 14일 <여의도면적 3.1배에 달하는 군사시설보호구역 905만3천894㎡를 해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정은 또 군사작전에 미치는 영향이 경미한 지역 약 3천426만㎡를 분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