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장인 35일간의 파업을 진행한 경북대병원노조가 1일오전 5시, 전면파업에서 부분파업형태인 지명파업으로 전환했지만 사측인 경북대병원은 운영을 정상화하지 않겠다며 여전히 3개병동을 폐쇄해 논란이 일고 있다.


노조는 지난해 12월31일 <병원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해 우선 병원정상화에 결단을 내렸다>며 <1월1일오전5시부터 지명파업으로 전환한다>고 선언하고, 파업참가자 300여명중 간부 50여명을 제외한 250여명이 업무에 복귀했다.


하지만 병원측은 여전히 3개병동을 폐쇄한 채 병상가동률을 50%대로 유지하며, 업무복귀조합원에 대한 업무배치를 거부하고 직원에 대한 교육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병원측이 지난해 12월30일 노조측에 단체협약해지를 일방적으로 통고하고 정부의 방만경영정상화지침을 수용하는 내용의 취업규칙변경안을 확정해 교육부에 보고한 것이다.


전국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2일 대구 경북대병원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북대병원과 서울대병원 사측이 △국립대병원단체협약 일방해지 △취업규칙개정서명 강요 △장기파업유도 등 부당노동행위를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현재 경북대 병원 병상가동률이 50%이하로 떨어져 있고 환자들은 다른 병원으로 옮겨가 치료를 받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현장복귀한 조합원들을 거부하는 것은 병원정상화를 외면하는 처사>라고 일갈했다.


전국공공운수노조연맹도 1월1일 성명을 통해 경북대병원 장기파업사태가 일어난 것을 비롯한 공공의료기관인 국립대병원 노사갈등의 원인은 박근혜<정부>가 정치적 치적으로 내세우기 위해 밀어붙이고 있는 <공공기관정상화대책>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박근혜<정부>의 <공공기관정상화대책>이 결국 단체협약해지, 취업규칙불이익변경을 위한 서명강요 등 노골적인 노동탄압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정부의 배후조종에 따라 단체협약들이 줄줄이 파괴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노조는 민주적인 대화를 통해 사태를 풀어갈 준비가 되어있으나, 박근혜<정부>가 노조를 상대로 초유의 탄압정책으로 나선다면, 조합원들과 함께 끝까지 투쟁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가짜정상화대책일방강요와 임금동결협박을 중단하고, 노사가 대화로 사태를 해결할 수 있게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경북대 병원노조는 지난 11월 27일 △복지협약개정 없는 임금인상 △간호사인력충원 △임상실습동인 <칠곡 제3병원>건립중단을 요구하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으며, 파업기간동안 임금인상(총액대비 1.7%)과 순환간호인력 10%충원에 합의했으나, 방만경영개선지침으로 인한 복지협약개정에 대해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유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