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파업위원회가 오는 12일 발족한다.

 

‘국민파업위원회 구성을 위한 제단체 간담회’가 5일오후2시 민주노총15층교육원에서 열렸다.

 

사진01.jpg

 

이날 간담회에는 제단체 대표자와 활동가 50여명이 참석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빈민연합, 빈민해방실천연대 등 5개단체는 지난 1월22일 ‘시민사회단체, 풀뿌리단체, 직종별모임, 종교단체 등 각계각층을 망라하는 모든 단위들이 모여 ‘2월25일 각각의 의제를 중심으로 국민모두가 하나되는 국민파업’을 조직하기 위해 힘을 하나로 모으자’며 5일 간담회를 제안한 바 있다.

 

사진02.jpg

 

참석자들은 노동자·농민·빈민대중조직간담회, 노동자·상인·경제민주화운동본부간담회, 네티즌과간담회 등 국민파업위원회 구성을 위한 사전경과보고를 들은후 2.25국민파업의 기조와 목표, 상, 명칭, 선전홍보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기조로는 △각계각층이 투쟁의 주체로 더 큰 싸움에 나서는 공동행동 △노동자·농민·빈민 등 대중조직이 앞장서는 범국민적 저항행동 △2014년 범국민적 민생 민주주의 공공성 녹생 평화통일 투쟁의 복격화를 알리는 시작으로 잡았다.

 

목표로는 △범국민적 민생, 민주주의, 공공성, 녹색, 평화통일(반박, 반재벌) 투쟁선포와 연대전선의 강화 △의료민영화 등 민영화 저지, 공약파기 민생파탄 저지 △공안탄압 중단, 민주주의파괴 중단 △재벌의 사회경제장악에 맞선 투쟁의 출발 △민주노총 불법난입·노조탄압 규탄, 반노동정책 중단으로 설정했다.

 

2.25국민파업명칭을 ‘박근혜정권1년, 이대로는 못살겠다! 2.25국민파업’으로 의견을 모았고, 대회상으로는 △전국 노동자·민중이 대규모로 집결하는 군중집회의 날 △노동자·농민·빈민·상인대중조직과 각계각층의 시민사회진영이 일손을 놓는 범국민파업의 날 △민생파탄과 민주주의파괴, 공약파기 등 박근혜1년의 실정과 재벌의 사회지배에 불만이 있는 모든 국민이 모여 자기목소리를 내는 직접행동의 날 △각계의 행동을 조직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4년 더 큰 투쟁을 준비하는 시작의 날로 했다.

 

대회는 전국동시다발로 진행되며, 수도권은 2월25일 오후4시 서울에서 국민대회를 연다.

 

국민대회에 앞서 보건의료노조를 비롯한 산별조직과 빈민·장애인, 교수학술부문은 사전대회를 갖을 예정이다.

 

민주노총과 제단체들은 국민파업을 조직화하기 위해 8, 15, 22일 열리는 촛불집회에 적극 결합하기로 했다.

 

제단체들은 또 주요요구안과 체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지난 12월7일 제출된 비상시국대회요구안들과 각부문요구안을 추가해 주요요구안을 정리하기로 했으며, 체계는 대표자회의, 집행위원회, 상황실을 두기로 했다.

 

국민파업위원회는 12일 오전10시 프레스센터에서 대표자회의를 갖은 후, 오전11시 같은장소에서 발족기자회견을 열기로 했으며, 17~24일 각 단위별로 주간행사, 집중선전전을 펼치기로 했다.

 

김진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