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제전범기가 게양되는 해상자위대창설70주년관함식에 참석하기로 결정해 논란이 거세다.

27일 국방부에 따르면 NSC(국가안전보장회의)정례상임위원회회의에서 남코리아해군은 다음달 6일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만에서 열리는 관함식에 참가하기로 잠정결정했다.

이번 관함식에 참석하는 군수지원함인 소양함은 오는 29일 진해항을 출항해 다음달 1일 일본 요코스카항에 입항할 예정이다.

일해상자위대는 일제전범기를 해상자위대기로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국제관함식절차에 따라 관함식에 참가한 남코리아함정은 일본좌승함에 걸린 전범기를 향해 한국승조원들이 경례를 하게 돼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는 계속 커지고 있다.

이번 관함식참석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짐에도 국방부는 <최근 북의 연이은 도발로 야기된 코리아반도주변의 엄중한 안보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해군의 이번 국제관함식참가가 가지는 안보상의 함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며 이번 관함식을 계기로 다국간 인도주의적 연합훈련, 30여개국 해군참모총장이 참석하는 서태평양해군심포지엄 등의 참석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심지어 일제전범기와 자위함기는 형태가 다르다며 <완전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저희는 자위함기라고 생각한다>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결정에 대해 <친일적 사고>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황명선민주당대변인은 <장병들이 <욱일기>에 경례를 해야 한다는 말이냐>며 <일본식민지배를 받았던 우리 역사를 똑똑히 기억한다면 결코 이런 결정이 나올수 없다>고 지적했다.

정청래민주당최고위원은 대구현장최고위원회에서 <해군이 <욱일기>를 단 함정에 경례하는게 맞는지 의심스럽다>며 <국민의힘정부의 친일본능, 친일DNA가 다시 살아는 것이냐>라고 힐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