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와르영화속 한장면의 갱스터들처럼, 세상 무서운 것 없이 자유롭게 팔을 흔들며 요들송을 부르는 안와 콩고(Anwar Congo)와 그의 친구들은 대초원을 가로질러 질주하는 서부의 카우보이들처럼 마치 그들이 영화속 주인공인양 자신의 영웅담을 이야기하며 그들이 행했던 살인현장에서 요란스레 춤을 춘다.


Joshua #TheActOfKilling2.jpg

그곳은 인도네시아의 메단, 과거에 저지른 끔찍한 죄악에도 불구하고 부끄러움, 죄책감이란 티끌만큼도 찾을 수 없으며 마치 유명한 영화배우라도 된 듯 그들은 한없이 당당하고 고무돼있다. 영화제작이라는 그들의 시도는 이미 미디어에서 환영받고 있으며 또 TV에서도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1965년 인도네시아정부가 군사파시즘에 의해 전복되면서 영화 암표를 거래하던 안와와 그의 친구들은 부패한 우익군대의 앞잡이가 돼 학살에 나서고 그 대가로 부유해진다.

그들은 무고한 시민을 뚜렷한 증거 없이 공산주의자들로 몰아 살해하는 것을 도왔고 그중에서도 안와는 도시에 가장 악명 높은 살인집행자로 직접 1000여명의 사람들을 죽였다. 또 그 당시 군사파시즘(Military Fascism)의 잔재가 남아있는 현재도 현역으로 활동하는 우익 불법무장단체의 조직창립자로 여전히 인정받고 있다.

<The act of killing>은 반인류적 살인을 바탕으로 승리를 쟁취한 범죄자들의 행위와 속죄에 대한 이야기다. 영화에서 조슈아감독은 과거 피비릿내 나는 화려한 경력의 부패한 권력과 그들이 여전히 군림하는 인도네시아의 진실을 망각한 사회적 분위기와 실태를 안와라는 상징적 인물을 통해 ‘영화속에 영화’라는 신선한 프레임으로 날카롭게 꼬집어 냈다.

안와는 조슈아의 <The Act of Killing>다큐멘터리 속에 나오는 ‘The Act of killed’의 영화배우가 돼 살인자와 피살자의 행위를 재현하고 연기한다. 자신이 고문하고 죽이며 스스로가 고문당하고 죽임을 당한다. 자연스러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과거, 자랑스런 애국적 무공이 군사파시즘에 기대어 대의명분 없는 반인륜적 살인범죄였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자신이 했던 일들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동정할 수 없는 애처로운 후회는 영화의 가장 핵심적인 안와의 감정선으로서 관객들을 영화속으로 끌어당긴다.

처음 자신이 저질렀던 현장을 방문하며 춤을 추던 안와는 마지막에 다시 찾은 현장에서 구토를 한다. 이미 되돌릴 수 없는 과거의 만행이 깊숙하게 뿌리내린 자신의 내면속 죄책감을 조금이라도 덜어내려는 듯이.

이제는 두손자의 할아버지가 된 안와, 자신이 찍은 영화를 그들과 감상하며 괴로워하고 참회의 눈물을 흘리는 장면에서 감독은 살인연기와 실제행위 자체에 본질적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그 본질을 직간접적으로 대하는 행위자·피해자·관객 모두가 괴롭다. 그러면서 영화는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영화가 사람을 바꿀 수 있는가?” 감독은 영화속 안와의 마지막 참회장면을 통해 긍정하는 답변을 남긴다. 영화가 사람을 바꿀 수 있다면 사회도 바꿀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영화는 영화예술의 본질에 대한 중요한 기록이 된다.

진실의 반대말은 거짓이 아니라 망각이라는 말이 있다. 진실을 바로 보지 못하고 눈을 돌리면 역사는 그대로부터 등을 돌리고 그 역사에 뿌리를 둔 사회는 구성원들을 마음껏 유린한다. 과연 우리의 역사는 어떠하고, 우리는 진실을 망각하고 있지 않은지 돌아봐야 한다. 안와같은 인간은 우리역사에도 수없이 있고 지금도 살아있다. 그들이 오늘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의 삶과 과거에 대해 어떻게 참회하고 있는지 물어볼 때다.


베를린영화제취재단 성우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