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진주의료원휴업예고마감일을 앞두고 각계에서 “진주의료원폐업철회”촉구목소리가 급속히 확산돼 폐업을 강행하겠다는 홍준표경남도지사와의 대격돌이 예상된다.

경남도가 입원환자들에 대해 30일까지 강제퇴원조치키로 해 보건의료노조는 ‘환자진료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노조는 29일 성명을 통해 ‘경남도공무원이 직접 개입한 퇴원종용행위에 불안감에 떨던 환자들이 더이상 버티지 못하고 진주의료원을 떠나고 있다’며 ‘2월26일 폐업결정당시 200여명이던 환자는 휴업예고마지막날을 하루 남겨놓은 현재 73명으로, 무려 130여명이 환자들이 강요에 못이겨 쫓겨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남도는 폐업을 정당화하고 기정사실화하기 위해 입원환자들을 강제로 내쫓아 휴업상태로 만들려는 비인도적이고 반의료적인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어떠한 경우에도 진료공백이나 환자안전문제가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보건복지부의 의견을 적극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국가인권위원회가 쫓겨나고 있는 환자들, 강제퇴원압력을 받으며 불안에 떨고 있는 환자들의 생명권과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사안의 시급성과 중대성을 감안해 하루빨리 긴급구제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청했다.

 

노조는 지난 26일 국가인권위에 긴급구제신청을 했고, 국가인권위는 27일 2명의 위원을 진주의료원에 파견해 환자인권침해행위실태를 조사한 바 있다.

계속해서 보건복지부를 향해 ‘진료공백사태와 의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직접 진주의료원에 담당자를 파견해 상황을 파악하고 환자진료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앞서 경남지역 15개단체로 구성된 경남장애인인권단체연합은 28일 오전 경남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진주의료원폐업을 허용하는 조례개정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진주의료원은 사회적 약자들의 의료권을 위한 최소한의 지역의료서비스기관이었다”며 여성장애인과 장애를 가진 임산부를 위한 ‘장애인전문산부인과’개설을 언급하며 “진주의료원이 폐업할 경우 지역장애인들은 창원 등 대도시로 나와야 하거나 사실상 진료가 불가능한 일반산부인과를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의 건강권과 공공의료를 파괴하고자 하는 경남도의 강압적이며 일방통행식 소통에 분노를 느끼며 홍지사의 진주료의원폐업결정과 반인권적 행위를 결코 묵인하지 않을 것이며 끝까지 지켜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료공동성강화와진주의료원폐업철회를위한진주시민대책위’는 28일 논평을 내고 ‘진주의료원은 ‘서부경남도민의 건강과 생명 보호, 국민건강증진’이라는 매우 특수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 거점공공의료서비스기관’이라며 ‘존폐문제를 오로지 진주의료원이 가진 본래 목적과 기능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진주의료원폐업은 34만진주시민과 320만경남도민의 뜻에 반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각계 실천행동도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저녁 창원정우상가앞에서는 1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진주의료원폐업철회촉구촛불문화제’가 열렸다.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간 보건노조 안외택울산경남본부장은 “목숨걸고 투쟁할 것”이라며 “경남도민전체를 위해서 하는 투쟁이다. 진주의료원은 아직 문을 닫지 않았기에 서민들의 건강권을 지켜내기 위해 함께 힘을 모아나가자”라고 절절히 호소했다.

27일 민주개혁연대소속경남도의원 11명전원은 “진주의료원폐업결정 철회”를 요구하며 천막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소통불능의 홍준표식도정에 많은 도민들이 분노하고 있다”며 “생명을 담보로 한 도지사의 일방적 폭주는 중단돼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홍지사와 경남도는 폐업강행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홍지사는 조선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진주의료원은 서민의료를 위한 공공의료기관이라기보다는 노조원 배불리는 강성노조의 해방구”라며 “이곳에 투입할 돈을 실제 서부경남지역서민들을 위한 의료복지로 돌리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폐업결정을 노조탓으로 돌렸다.

경남도는 ‘진주의료원폐업에 보건복지부의 공문에 대해 “통상적인 내용”이라고 치부했다. 


또 홍민희사무관은 29일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진주의료원은 2008년부터 도, 도의회에서 구조조정을 요구했지만 노조는 구조조정을 하기는커녕 직원수를 늘려 의료매출대비인건비율이 증가했다며 사태의 책임을 노조에게 전가했다.


이어 “더 나은 공공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폐업을 결정한 것”이라며 “공공성에 대한 검토에서 진주의료원은 충분하게 그역할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김동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