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노총(CGT)실업노조전위원장 샤흘 와호와 프랑스 리옹진보정당조직비서 엉투완 베당 등 민생민주국제포럼참가차 방남한 진보활동가들이 9일 농성중인 철도노조 서울지역본부를 찾아 연대의 뜻을 전하고 간담회를 나눴다.

철도노조 서울지역본부는 최근 작업중 산재사망사고발생관련 농성투쟁을 전개중이다.

간담회에는 샤흘 와호, 엉투완 베당을 비롯해 철도노조 박성수서울본부장과 김영림지부장, 환수복지당 한명희대표 등이 참가했다. 간담회참가자들은 불의의사고로 희생된 조영량노동자의 분향소를 먼저 찾았다.

간담회참석자들은 사업장 아침선전전을 함께 진행하며 국제주의적인 연대의 정을 나눴다.

간담회에서 박성수본부장은 철도노조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했다. 박본부장에 따르면 철도노조에 5개지역본부가 있고 서울지역본부에는 57개지부가 있으며, 서울전체조합원은 7800명이다. 이번 산재사망사고가 발생한 지부는 154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어 앙투완 베당은 사망사고에 조의를 표했고 철도노조노동자들이 탄압에 맞서 용감하게 싸우는 것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 그는 또 <학생이면서 <이케아>에서 일하는 노동자이고, 세계노총(WFTU)에 가입되어있다.>고 밝혔다.

샤흘 와호는 <프랑스노총에 가입돼 있고, 세계노총의 프랑스지역대표를 맡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세계노동자들을 묶어 국제연대를 이어나가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 함께 참가한 환수복지당 한명희대표가 자기소개를 하자 박성수본부장은 <촛불집회 내내 자주 봤다.>면서 인사를 건넸다.

박성수본부장은 <김영삼정부부터 사영화조짐이 있었고 그때부터 노조활동가들이 저지투쟁을 했다.>면서 <현재 철도는 공기업으로 되어있다.>고 설명했다.

샤흘 와호 역시 프랑스 사례를 설명했다. 그는 <프랑스정부도 사영화를 시작했고 마크홍정부가 들어선후 더이상 공기업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강조했다.

박본부장은 간담회탁자 사진을 가리키며 해고노동자라 소개했고, 프랑스 해고사례에 대한 질의를 했다. 

샤흘 와호는 <거의 해고당할 일은 없다.>면서 <코리아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알겠다.>고 답했다.

박본부장은 샤흘 와호의 말을 받아 <심각성을 알기 때문에 사영화저지투쟁을 위해 22년간 투쟁해고 있다.>고 밝혔다. 사영화에 맞선 파업을 계속했는데 두번의 파업기간동안 국민적공감대를 얻어낸 성과를 짚었다. 그는 이어 <앞으로도 철도노동자가 어용이 안되고 민주노조로 계속간다면 어떤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민주노조를 통해 사영화를 막아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샤흘 와호는 <CGT뿐 아니라 유럽 아프리카의 진보적인 노동자들이 함께 하는 세계노총(WFTU)에 가입해서 함께 싸우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삼성일반노조의 투쟁을 세계노총차원에서 어떻게 연대하고 있는지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세계노총의 역사에 대해 설명했다. 1945년 세계노총 설립, 2000년 이후 세계노총을 탄압하기 위해 어용노조들이 뭉치기 시작한 사례 등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세계노총안에는 10억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있다.>면서 국제노총(ITUC)의 개량적 흐름을 비판했다.

박본부장은 <국제노총은 쉽게 말해 어용노조라는 것>이냐고 확인하며 남코리아의 한국노총도 그곳에 가입돼있음을 인정했다.

샤흘 와호는 프랑스내에서 세계노총가입 움직임을 추가로 설명하며 <제대로된 노동을 위해 세계노총에 가입할 것>을 권유했다. 그는 또 <어용노조투쟁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역점을 찍었다.

박본부장은 <샤흘 와호 덕에 세계노총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됐다.>면서 <조합원들과 토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며 답례를 했다.
photo_2017-06-13_12-44-20.jpg

photo_2017-06-13_12-54-18.jpg

photo_2017-06-13_12-43-56 (2).jpg

photo_2017-06-13_12-43-57 (2).jpg

photo_2017-06-13_12-54-19.jpg

photo_2017-06-13_12-54-20 (2).jpg

photo_2017-06-13_12-54-20 (3).jpg

photo_2017-06-13_12-54-25 (2).jpg

photo_2017-06-13_12-54-25 (3).jpg

                                                                                                                                                                   * 기사제휴 : 21세기민족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