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을 3곳이상 금융기관에서 받은 다중채무자비중이 계속 늘고 있다.

15일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말 기준 가계대출자 가운데 22.4%가 다중채무자다. 이는 작년 말(22.1%)보다 비중이 0.3%p 늘어난 것으로, 집계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최고기록이다.

1분기 가계부채 DB표본 데이터상 전체가계대출 차주수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작년말 기준 전체차주수(1989만4000명)에 이 비중(22.4%)을 적용할 경우 445만6000여명이 다중채무자라는 계산이 나온다. 한편 같은기간 차주(대출자)수가 아니라 대출잔액기준 다중채무의 비중은 31.9%로 집계됐다.

업계에서는 올해 들어 다중채무자 비중이 커진 원인으로 코로나19여파가 길어지면서 자영업자 등 한계에 이른 차주들이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에서 추가로 돈을 빌렸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한은의 가계신용통계 기준 가계대출총액은 올해 1분기 1752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현재 다중채무자의 전체 빚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의 비중이 32.6%로 가장 컸고 이어 50대 28.0%, 30대이하 26.8%, 60대이상 12.6% 순이었다. 40대의 경우 비중이 작년말보다 1.1%p(33.7→32.6%) 떨어졌지만, 30대이하와 50대는 0.6%p(26.2→26.8%), 0.2%p(27.8→28.0%)씩 늘었다. 같은 기간 60대도 0.3%p(12.3→12.6)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