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4노조연대회의는 2일 성명을 통해 <서울시는 지하철 비정규직 정규직화 전환하라>고 촉구하면서 40일간의 천막농성을 정리하고 다시 현장으로 돌아간다고 밝혔다.


이들이 지난 2월23일 무기한 천막농성에 돌입한 것은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동차정비업무를 자회사를 설립해 분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사중복인력 1000명을 5년에 걸쳐 단게적 감축, 외주인력직영화는 일단 안전과 관련된 전동차정비와 스크린도어 관리부터 하고 다른부분은 추후논의하기로 하는 내용의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통합을 위한 노사정잠정합의안이 지난 3월17일 도출됐다.


하지만 잠정합의안이 서울메트로양대노조(서울지하철노조, 서울메트로노조) 투표결과 부결됨에 따라 통합은 무산됐다. 


한곳이라도 과반반대가 나오면 통합을 추진하지 않기로 합의한데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2011년부터 공공부문비정규직고용개선방안을 발표해왔다. 서울지하철에 경정비업무를 담당하는 비정규직노동자들은 그동안 수많은 집회와 지난해 24일간 천막농성을 진행하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요구해왔다.


성명은 <서울시는 이번 지하철통합과정에서 한국능률협회에 용역에 관한 보고서를 맡겼다.용역보고서에는 지하철정비업무가 비핵심업무로 정리돼 있다.>며 <서울시는 현장조사 한번 나오지 않고 한국능률협회용역보고서에만 의존해 비정규직노동자들의 목소리에는 모르쇠로 일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하철이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정비하는 노동자들의 업무가 중요하다.>면서 <시민의 안전을 담당하는 정비업무노동자들이 언제 해고될지 모르는 비정규직이라는 것은 어처구니 없는 일이 아닐 수 없으나 서울시는 비정규직들의 목소리에는 외면하면서 계속적인 외주화를 계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차량4노조연대회의는 <서울시가 진정으로 시민안전으로 책임지겠다면, 서울지하철정비업무를 직영환수하고 비정규직노동자들의 고용과 근로조건 문제를 해결해야할 것>이라며 <만약 서울시가 이 문제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한다면 우리는 다시 거리로 투쟁하러 나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차량4노조연대회의는 서울지하철비정규지부, 서울도시철도ENG노조 전동차정비본부, 서울지하철노조 차량지부, 서울도시철도노조 차량본부로 구성돼 있다.


김진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