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의료원폐업철회 정상화를 위한 각계대표선언’이 6월4일오전11시 프레스센터에서 진주의료원범대위(진주의료원지키기공공의료강화범국민대책위원회)주최로 개최됐다.


 0604 진주의료원기자회견.png


진주의료원범대위는 “103년 역사를 자랑하는 진주의료원을 경상남도와 홍준표도지사가 ‘강성귀족노조와 적자경영으로 더이상 희생가능성이 없다’는 어처구니없는 변명을 늘어놓으며 지난 5월29일 폐업을 강행했다”며 “이는 곧 △공공의료후퇴 △의료공공성약화 △보편적 복지라는 시대흐름의 역행으로 민의를 벗어난 홍준표도지사만의 폐업이 무효임을 선언하며 즉각적인 재개업과 정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 “5월31일부터 6월1일까지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만19세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한 결과 진주의료원 폐업발표에 대해 ‘잘못한 일이다’(54.5%), ‘잘한 일이다’(32.7%)로 폐업발표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개원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67.1%), ‘반대한다’(22.4%)로 조사됐고, 폐업을 주민투표로 결정하는 것에 대해서도 ‘찬성한다’(66.2%), ‘반대한다’(25.2%)로 재개원 및 주민투표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박석운 한국진보연대공동대표는 “폐업은 반생명적, 반공공의료, 반민주주의 등 3가지의 문제점이 있다”며 “이런 상황이면 대통령과 집권여당이 직접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지현 보건의료노조위원장은 “폐업으로 좋은 일자리를 가진 230여명의 노동자가 일터를 떠나게 되었다”며 “이것이 고용율 70%를 목표로 한다는 박근혜정부의 현주소”라며 규탄했다.

 

양성윤 민주노총비대위원장은 “홍지사가 말하는 귀족노조인 진주의료노조는 2008년부터 6년간 임금을 동결했고 그나마 6개월동안 임금이 체납된 상황이며 진주의료원간호사 평균연봉은 3100만원으로 전국 간호사 평균임금 3200만원보다 적다”고 밝히고, “국민들의 반노조감정을 이용하고 있는 홍준표를 반드시 끌어내리겠다”고 단언했다.

 

김용익 민주당의원은 “진주의료원 재개원 및 정상화를 꾀하며 공공의료발전방향을 여야합의를 통해서 해결하고 인간에 대한 사랑과 예의가 없는 홍준표같은 정치인을 반드시 퇴출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은지 진보신당부대표는 “진주의료원폐업결정은 공공의료서비스체계붕괴로 지방의료원을 시작으로 도립병원, 국립병원, 국립대학병원, 보건소까지 모두 폐업되는 도미노현상을 일으킬 것”이라며 “진주의료원이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정권퇴진운동까지 진행하겠다”고 경고했다.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소장은 “폐업은 홍준표 혼자한 것이 아니라 박근혜가 한 것이다”라며 “박근혜가 나서서 해결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진주의료원범대위측은 “6월8일 생명버스를 시작으로 진주의료원앞에서 ‘진주의료원지키기 생명텐트촌’을 형성하여 1박2일간 진행하며, 경상남도의회가 열리는 11에는 경상남도의회앞에서 보건의료노조 결의대회를 18일에는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진행하여 폐업해산 조례통과를 반드시 저지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200여명의 강제퇴원된 환자들중 24명이 운명했고 그나마 현재 남아있는 3명의 환자들에게 1인당 하루46만원의 손해배상청구로 협박하고 있다”며 “이 환자들을 지키기 위해 범국민적 모금운동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계속해서 국정조사와 주민투표방안 등을 통해 재개원 및 정상화방안을 마련하고 홍준표퇴진을 요구하며 이번 사태에 대해 "박근혜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현기자

 

 

 

번호 제목 날짜
3977 철도노조 쟁의행위 가결, 파업 나선다 file 2012.09.29
3976 영화·드라마 보조출연자도 산재보험 적용된다 file 2012.10.01
3975 ‘노년유니온’ 출범 “노인 스스로 노인문제 해결” file 2012.10.02
3974 현대차불법파견의 산 증인, 김준규조합원 출소 file 2012.10.02
3973 노동부, 창조컨설팅 인가취소·심종두 노무사자격 박탈 착수 file 2012.10.04
3972 요양보호사·간병인 등 돌봄노동자들 “노동기본권 보장하라” file 2012.10.05
3971 만도, 제2노조에만 특혜 주는 등 부당노동행위 계속돼 file 2012.10.05
3970 민주노총 충남본부, 유성기업관련 국정감사 촉구 1인시위 file 2012.10.09
3969 전국학비노조 다음달 9일 총파업 선언 file 2012.10.10
3968 백옥생앞 전국동시다발 1인시위 벌여 file 2012.10.11
3967 공공부문노동자, 사영화저지 위해 10~11월 파업 돌입 file 2012.10.11
3966 희망버스기소자들, 법원서 무효판결 받아 file 2012.10.12
3965 서울시립대 청소노동자들, 노동조합 결성해 file 2012.10.14
3964 김해 경용중공업, 폐업·정리해고 철회 file 2012.10.14
3963 철도노조 “KTX민영화와 철도자산회수 중단 안하면 총파업” file 2012.10.14
3962 민주노총 김영훈위원장 “가장 무거운 정치적 책임질 것” file 2012.10.27
3961 민주노총, ‘임원 직선제 유예안에 대한 7문7답’ 발표 file 2012.10.27
3960 4만7000공무원노동자 “바꿔야 바뀐다!” file 2012.10.27
3959 철도노조 27일 “KTX민영화 중단” 총파업 예고 file 2012.10.27
3958 경북대병원 청소노동자, 쟁의행위찬반투표 찬성100%로 가결 file 2012.10.27
3957 2천명 모인 ‘비정규직10만촛불행진’ 경찰에 막혀 file 2012.10.28
3956 노조파괴공작, 창조컨설팅뿐만이 아니다 file 2012.10.29
3955 복직3개월만에 다시 징계당한 전북KT노동자 file 2012.10.30
3954 민주노총, 30일 임시대대 열고 직선제 실시여부 결정 file 2012.10.30
3953 MBC, PD수첩에 대체작가 투입 file 2012.10.30
3952 쌍용차사태악화, 국가기관이 일조했다 file 2012.10.30
3951 민주노총, 직선제 3년유예 결정 file 2012.10.30
3950 공공부문노동자 총력투쟁결의대회 열어 file 2012.10.31
3949 현대차, 철탑농성 외면하고 사내하청신규채용 밀어붙여 file 2012.10.31
3948 남중FTA체결반대 농민들 “대선후보 입장 밝혀라” file 2012.11.01
3947 양대노총 공공부문노동자 2만5000명 ‘총궐기’ file 2012.11.01
3946 공무원노조 “공무원해직자복지특별법 제정하라” file 2012.11.01
3945 대법원, 현대미포조선에 “부당해고기간 가상보상금 지급하라” file 2012.11.01
3944 철탑농성중인 최병승 “쌍용차 3천인동조단식 참여하겠다” file 2012.11.03
3943 철탑농성중인 최병승 “쌍용차 3천인동조단식 참여하겠다” file 2012.11.03
3942 현대차, 구사대 조직해 노동자 농성 막아 file 2012.11.05
3941 철도시설공단의 기막힌 '18억 임금체불' file 2012.11.05
3940 무엇이 MBC를 다시 파업으로 몰아갔나 file 2012.11.05
3939 무엇이 MBC를 다시 파업으로 몰아갔나 file 2012.11.05
3938 서울지방노동위원회, 발전5개사에 '부당노동행위' 인정 file 2012.11.05
3937 신세계 이마트, 최초로 노동조합 결성 file 2012.11.06
3936 신세계 이마트, 최초로 노동조합 결성 file 2012.11.06
3935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자 9일 파업 돌입 file 2012.11.07
3934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자 9일 파업 돌입 file 2012.11.07
3933 민주노총 김영훈위원장 사퇴, 12월 차기위원장 선출 file 2012.11.08
3932 경기지역 청소노동자 총파업 벌여 file 2012.11.08
3931 경기지역 청소노동자 총파업 벌여 file 2012.11.08
3930 전국노동자대회, 서울역에서 전야제로 시작 file 2012.11.12
3929 전국노동자대회, 서울역에서 전야제로 시작 file 2012.11.12
3928 전국노동자대회, 3만명 모여 “열사정신 계승하자” file 2012.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