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O(국제노동기구) 319차이사회에서 전교조법외노조화에 대한 규탄성명서를 채택했다.

 

ILO 319차이사회가 10월 16일부터 31일까지 스위스제네바에서 개최됐다.

 

ILO이사회노동자그룹은 31일 ‘법적근거 없는 전교조 법외노조 통보에 대한 성명서’를 채택하고 ‘해고자조합원자격은 노조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ILO결사의자유위원회의 거듭된 권고를 어기고 아무런 법적근거 없이 전교조를 법외노조화한 남코리아정부를 규탄했다.

 

규탄성명은 ‘남코리아정부는 전교조의 단결권과 조합원자격에 대해 정부의 간섭 없이 노조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면서 ‘박근혜정부는 교사의 기본권을 공격함으로써 순식간에 반노조성향을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모든 ILO회원국 정부와 사용자들이 남코리아정부가 즉시 국제법에 따른 책임을 다하고 전교조의 법적지위를 즉각 복원하도록 압력을 행사할 것’을 촉구했다.

 

또 노동자그룹은 전교조를 법외노조화 한 것과 정확히 같은 이유로 전국공무원노조의 설립신고를 반려한 것에 대해서도 규탄했다.

 

규탄성명은 ‘ILO사무국은 남코리아정부가 결사의자유위원회가 권고한 것처럼 전국공무원노조를 인정할 것을 촉구했으나 박근혜정부는 이를 전적으로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계속해서 ‘남코리아정부가 계속해서 국제기준에 맞도록 노동법을 개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OECD가 남코리아의 노동기본권상황에 대한 감시를 즉각 재개할 것’을 촉구했다.

 

노동자그룹의 규탄성명은 현지시각 31일오후, 노동자그룹  뤽 쿼터벡 (Luc Cortebeek) 의장을 통해 ILO 이사회에서 발표됐다.

 

민주노총은 ‘이번 ILO이사회 노동자그룹의 성명서채택을 시작으로 ILO회원국으로서의 의무를 져버리고 국제사회에 편입하기 위해 스스로 맺은 약속을 져버린 한국 정부에 대한 규탄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평했다.

 

다음은 성명전문이다.

 

STATEMENT OF WORKERS GROUP ON THE UNLAWFUL DEREGISTRATION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법적 근거 없는 전교조 법외노조 통보에 대한 ILO 이사회 노동자그룹 성명서

 

Earlier this year,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on the orde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reatened to cancel the registration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if it did not amend its constitution in line with Korean law. The government subsequently set a deadline of 23 October 2013, which it observed. On 24 October, the legal status of the KTU was withdrawn.
올해 초 교과부의 요청에 따라 노동부는 전교조가 국내법에 맞게 규약을 개정하지 않으면 설립신고를 취소하겠다고 위협했다. 뒤이어 정부는 전교조에 규약개정 시한을 2013년 10월 23일로 통보하였고, 10월 24일 전교조의 법적 지위를 박탈했다.

 

The KTU constitution allowed dismissed workers to remain members of the union. Article 2(4)(d) of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djustment Act (TULRAA) provides that an organization shall not be regarded as a trade union...where those who are not workers are allowed to join the organization.” Article 23(1) of the Act also provides that non-union (dismissed) members are ineligible to hold trade union office. The ILO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CFA) has repeatedly criticized these provisions, reiterating that, "[I]t urged the Government to repeal the provisions prohibiting dismissed and unemployed workers from keeping their union membership and making non-union members ineligible to stand for trade union office… Noting with regret that the Government has not repealed these provisions, the Committee once again urges the Government to do so [.]" See, ILO CFA Case No. 1865 (Korea), Report No 363, March 2012 at para. 126.
전교조는 규약으로 해고자의 조합원 자격을 허용하고 있다.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2조 4항 라목은 근로자가 아닌자의 가입을 허용하는 경우 노동조합으로 보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동 법 23조 1 항은 (해고된) 비 조합원이 임원으로 선출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는 두 조항을 수차례 비판하였으며, “해고자 및 실업자 조합원 자격을 금지하는 조항과 비 조합원이 노조 임원으로 선출될 수 없도록 하는 조항을 정부가 폐지할 것을 촉구한다... 정부가 해당 조항을 폐지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폐지를 다시한 번 촉구한다”고 재차 밝혔다. (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 제소 건 1865호 관련 2012년 3월 보고서 363호 126항 참조)

 

Around 40 members of KTU were dismissed during the previous government for their activities, including expressing their opinion on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and/or for donations to progressive political parties. These workers, whose dismissals are also illegal under international law, were considered members of the KTU.
이전 정부 하에서 정부 교육 정책에 대한 입장 표명, 진보정당 소액 후원 등을 이유로 40여 명의 전교조 조합원들이 해직되었다. 이러한 해고는 국제법에 어긋나는 것이다.

 

The 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ITUC) and Education International (EI) twice requested an urgent intervention from the ILO in this case. The ILO responded both times. However, the government has flatly refused to heed the interventions of the Director General, or the repeated recommendations of the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국제노총(ITUC)와 국제교원노련(EI)은 이 사안에 대해 두 차례 ILO의 긴급개입을 요청하였고, ILO는 두번 다 요청에 응했다. 그러나 정부는 ILO 사무총장의 개입 및 결사의 자유 위원회의 거듭된 권고에 주의를 기울이기를 단호히 거부했다.

 

The Workers’ Group denounces in the strongest possible terms the government’s decision. The government must respect the union’s right to associate, and to determine its own membership,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authorities. The new Park Administration has demonstrated in short order its anti-union credentials by attack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eachers. The Workers Group call on all governments and employers to urgently press the government to respect its commitments under international law and restore the KTU’s legal status immediately.
노동자그룹은 한국 정부의 이러한 결정을 강력하게 규탄한다. 정부는 전교조의 단결권과 조합원 자격에 대해 정부의 간섭 없이 노조 스스로가 결정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박근혜 정부는 교사의 기본권을 공격함으로써 순식간에 반노조 성향을 드러냈다. 노동자그룹은 모든 [ILO 회원국] 정부와 사용자들이 한국정부가 즉시  국제법에 따른 책임을 다하고 전교조의 법적 지위를 즉각 복원하도록 압력을 행사할 것을 촉구한다.

 

The Workers’ Group also denounces the government’s recent refusal to register (for the 4th time)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KGEU) - for the exactly same reasons it deregistered the KTU. Like the KTU, the Office has appealed to the government to register the union, as has the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The Park Administration has completely ignored the ILO.
노동자그룹은 전교조를 법외노조화 한 것과 정확히 같은 이유로 전국공무원노조의 설립신고를 반려한 것에 대해서도 규탄한다. 전교조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ILO 사무국은 한국 정부가 결사의 자유 위원회가 권고한 것처럼 전국공무원노조를 인정할 것을 촉구했으나 박근혜 정부는 이를 전적으로 무시했다.

 

Given these and many other serious violations, as well as the government’s continued failure to bring its labour laws into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e Workers’ Group also calls o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o reinstate urgently its monitoring of the labour rights situation in the country. It is clear that the government has failed to fulfil its commitment, made upon its entry to the OECD in 1996, “to reform existing laws on industrial relations in line with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s, including those concerning basic rights such as freedom of associ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교사 공무원 뿐 아니라 여러 심각한 노동기본권 침해 사례를 접하고, 그리고 한국정부가 계속해서 국제 기준에 맞도록 노동법을 개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노동자그룹은 OECD가 한국의 노동기본권 상황에 대한 감시를 즉각 재개할 것을 촉구한다. 한국 정부는 1996년 OECD 가입과 동시에 “ 노사관계 관련,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 등에 관한 권리에 관한 기존 법률을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에 부합하도록 개정할 것”을 국제사회에 약속했으나, 이 약속을 분명하게도 위반하고 있다.

 

 

 

김진권기자

 

 

번호 제목 날짜
627 KBS청소노동자들, 노조간부해고 규탄 file 2020.12.28
626 현대중노사, 잠정합의실패 file 2020.12.29
625 이주노동자단체 <캄보디아노동자사망진상규명>촉구 file 2020.12.29
624 노동·시민단체 <LG트윈타워청소노동자 해고금지하라> file 2020.12.29
623 2019년노조조직률 12.5% ... 4년째 상승추세 file 2020.12.29
622 택배노조, 롯데택배 노조탄압·수수료삭감 규탄 file 2020.12.29
621 김포도시철도노조 <사고재발방지 위해 김포골드라인운영정상화 돼야> file 2020.12.29
620 동해북평공단공장화재, 인명피해없어 file 2020.12.30
619 화순공무원노조·화순 <2020년단체협약체결> file 2020.12.30
618 서울전교조, 단협체결 file 2020.12.30
617 LG트윈타워청소노동자들, 고용승계농성 한달째 file 2020.12.30
616 이주노동자노조 등, 근기법위반혐의 농장주 고발 file 2020.12.30
615 한화생명노조, 고용안정보장파업결의대회 개최 file 2020.12.30
614 법원 <미수금스트레스뇌경색 ... 업무상질병> file 2020.12.31
613 천안철로작업중 화물열차충돌, 2명사망 file 2020.12.31
612 전국철도노동조합, 비정규직차별철폐침묵시위 file 2020.12.31
611 KTX승무원재판거래 ... 판사탄핵촉구 file 2020.12.31
610 유성기업 <10년간의노사갈등종식> file 2021.01.01
609 <중대재해기업처벌법제정촉구>기자회견 file 2021.01.01
608 보험설계노조 ... <20년만에 합법화> file 2021.01.01
607 국토안전관리원노사, 임금협약체결 file 2021.01.01
606 공공운수노조, LG규탄및청소노동자투쟁선언 file 2021.01.02
605 HMM노사, 임단협타결 file 2021.01.02
604 대전쓰레기재활용공장화재 file 2021.01.02
603 대전을지대병원노사 <극적타결> file 2021.01.02
602 중대재해기업처벌법제정촉구행사 file 2021.01.02
601 현대중노사, 임단협타결실패 file 2021.01.02
600 골프장해고노동자 ... 1년만에 복직 file 2021.01.04
599 현대차울산하청노동자 ... 기계에 끼여 사망 file 2021.01.04
598 대구정수사업소집수장공사, 노동자추락사 file 2021.01.04
597 광양제철소 <산업안전보건744건위반> file 2021.01.04
596 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80여명 끝내 집단해고 ... 새해첫날 기자회견 file 2021.01.04
595 LG제품불매운동 돌입 ... 집단해고사태해결 촉구 file 2021.01.04
594 중대재해발생, 현대차생산라인 멈춰 file 2021.01.04
593 경기포천공장화재 ... 노동자1명 사망 file 2021.01.04
592 현대미포조선2020임단협조인식 file 2021.01.05
591 국회앞 <중대재해기업처벌법제정촉구> 기자회견 file 2021.01.05
590 LG트윈타워청소노동자 ... 고용승계촉구 file 2021.01.05
589 강진식품가공공장화재 file 2021.01.05
588 가천대길병원, 2020임단협<조정중지>결정 file 2021.01.05
587 김진숙복직촉구 긴급기자회견 file 2021.01.05
586 IT대기업구글, 노조결성 file 2021.01.05
585 이주농업노동자 69.6%, 가설건축물 거주 file 2021.01.06
584 울산노동계 <중대재해기업처벌법>제정촉구 file 2021.01.07
583 LG트윈타워청소노동자 <조정회의결렬> file 2021.01.07
582 동국제강포항공장 ... 화물엘리베이터사고 file 2021.01.07
581 집배원과로사 <동절기예방대책요구>기자회견 file 2021.01.07
580 르노삼성 ... 임단협본협상 file 2021.01.08
579 민주노총부산 ... 중대재해법 5인미만사업장 제외반발 file 2021.01.08
578 민주노총서울, LG불매운동선포 기자회견 file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