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jpg 


진노회(단결과혁신을위한진보노동자회)와 노연단(노동연대실천단)가 공동주최한 2회 진보노동자학교가 2월 16~17일 2일간 공주소랭이펜션에서 열렸다.

 

작년 8월에 이어 2번째로 열린 이번 진보노동자학교에서는 첫째날 강연과 운동회를, 둘째날에는 진노회총회와 노연단모임, 소감발표, 시상식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론과 실천의 배합, 단결과 혁신, 2012년활동평가와 2013년사업계획토론, 활동결의’ 등의 취지로 열린 2회 진보노동자학교에는 노동자, 청년, 대학생 등 40여명이 참가했다.

 

진노회 김병동대표는 “노동계급의 단결과 혁신을 위해 헌신하는 동지들을 모시게 돼서 영광으로 생각한다”는 환영사와 함께 2회 진보노동자학교의 시작을 알렸다.

 

참가자들은 돌아가며 자기소개와 참가계기를 밝히며 서로 인사를 나눴다.

 

이어 비전향장기수 안학섭선생의 ‘진보운동가의 인생관’, 21세기코리아연구소 조덕원소장의 ‘코리아반도 정세와 노동운동’, 진보당(통합진보당) 진보정책연구원 김장민상임연구위원의 ‘진보정치의 과제와 노동운동’ 강연이 차례로 진행됐다.

 

안학섭선생님.JPG



“진보운동가, 옳다고 결정한 일 목숨바쳐서라도 관철해야”

 

첫강연자로 나선 안학섭선생은 “단일민족으로서의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우리나라는 일제식민지로부터 미제국주의식민지로 넘어왔다”며 “외세에 의존하지 말고 우리민족끼리 단결해서 우리의 자주권을 찾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진보운동가는 옳다고 결정한 일은 목숨바쳐서라도 끝까지 관철해야 한다”며 “일생을 감옥에서 살았지만 후회하지 않는다. 한점 부끄럽지 않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 “삶은 곧 투쟁”이라며 “포기하지 말고 자기의 위치를 주체적으로 판단하며 실망하지 말고, 자기욕심을 버리고, 배짱을 가지고 끈질기게 투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 조덕원소장은 영상강연을 통해 1950년 코리아전이래 가장 최악의 전쟁국면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8가지의 키워드를 통해 코리아(Corea)반도의 정세를 분석하고 노동진영을 비롯 진보진영이 나아갈 방향들을 제시했다.

 

김장민.jpg 


 

“혁신은 통합의 선결조건이 아닌 통합과정에서 실현”


세번째 강연자로 나선 김장민연구위원은 「민주당 왼쪽방, 진보정당 경쟁체가 아닌 혁신과 통합」을 통해 “혁신은 통합의 선결조건이 아닌 통합과정에서 실현되는 것”이라며 “진정한 혁신은 통합의 자리에서 적이 아닌 동지로 만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합에 대해 “제3세력을 중심고리로 진보정당들이 통합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제3세력, 새로운 대중적 주체는 기존 진보정당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묶는 견인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연구위원은 혁신과 통합을 위한 운동으로 △그간의 민중의 정치세력화에 대한 평과와 대안 마련에 대한 전국토론운동을 부문별, 지역별, 계층별 전개 △기존 진보정당들에게 평가와 입장 요구 △지역·부문·계층의 진보정치활동가들이 제한없이 한자리에 모여 진보정치 혁신과 단결 방안에 대한 지속적 논의 등을 제안했다.

 

특히 혁신을 위해 “인적혁신이 아닌 제도적 혁신이 돼야 한다. 다수결에 근거한 다수독점이 아니라 소수를 보장하는 협의제가 필요하다”며 “80년대 리더중심의 정파문화가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진보정당강령과 관련 “진보적 민주주의 그 자체를 반대하지 않으나 단일한 노선으로 하는 것은 반대한다”며 “진보적 민주주의의 핵심은 다양한 세력을 묶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연후 참가자들은 “살다보면 애로와 난관이 있지만 자체의 힘으로 끝까지 끝장을 보는 담력이 필요하다는 느꼈다”, “노동운동을 하든 뭐를 하든 분단된 상태에서는 노동운동이 성공할 수 없다”, “자체의 힘으로 나라를 운용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 등의 소감을 밝혔다.

 

둘째날 진노회총회에서는 지난 2012년사업을 평가하고 2013년사업계획과 진노회규약을 토론하고 확정했다.

 

진노회는 작년 활동평가에 기초해 2013년 한진중공업·현대차·쌍용차 등 투쟁사업장을 지지·지원하고 지역노조와 노동단체 주최 행사에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또 지역노조 및 노동단체와의 간담회, 토론회 등 다양한 방식의 연대사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진노회는 노동자의 정치세력화와 단결투쟁을 목표로 하는 노동자정치조직으로 노동조합선거에 일체 개입하지 않고 오직 통합진보정당으로의 결집과 전체노동자들의 단결에 헌신한다고 밝히고 있다.


진노회는 노동자를 비롯한 민중이 주인인 세상, 진보적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사회를 앞당기는 것을 최종목표로 삼고 있으며 지난 2011년 11월26일 결성됐다.

 

김동관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반일행동, 미버지니아주애난데일소녀상앞에서 논평발표·일인시위 진보노동뉴스 2021.02.24
6870 민주노총충남본부 단위노조대표자수련회 개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0
6869 충남도교육감, 무기계약 회피하려고 초등돌봄 집단외주화하는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0
6868 경찰, 규제강화 골자 경비업법 개정안... 폭력행위교사한 사측책임 못 물어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0
6867 민주노총 김영훈위원장 “정치협상과 독자후보 투트랙전술 준비”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0
6866 민주노총 충남지역본부, 총파업투쟁승리농성투쟁선포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2
6865 [기획] 19대국회 노동입법과제2: 민주노총 10대우선노동입법과제-비정규직철폐 및 권리보장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2
6864 국회환경노동위, 9월중 폭력용역·쌍용차 청문회 개최 합의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3
6863 16개 정리해고사업장 노동자들, 집중투쟁 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3
6862 현대차노조, 교섭분리문제로 대의원대회 혼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5
6861 [기획] 언론노조 총파업2: 언론독립과 공정방송쟁취를 위한 언론노동자들의 투쟁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5
6860 현장으로 돌아가는 꿈, 박근혜가 이루어줄까?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5
6859 남아공, 경찰 발포로 파업중인 광산노동자 36명 사망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6
6858 조계종 ‘노동위원회’ 설치해 노동문제 해결 모색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7
6857 현대차 비정규직노조 "조합원부터 정규직전환해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7
6856 이론과 실천 통해 ‘노동자정치세력화’의 기수가 되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9
6855 국회입법조사처 ‘직장폐쇄의 공격적 단행 정당성 갖기 어려워’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9
6854 박근혜, 전태일재단서 쫓겨나고 쌍용차분향소 방문 취소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29
6853 [기획] 19대국회 노동입법과제3: 노동시간단축 및 고용안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30
6852 김진숙 "박근혜, 왜 헌화를 막았는지 잘 생각해 보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30
6851 민주노총 4년만에 총파업, SJM서 “불법직장폐쇄와 용역폭력 규탄한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30
6850 총파업투쟁 승리를 위한 충남 노동자결의대회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31
6849 “노동자들이 직접 나서 비정규직문제 해법 도출해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31
6848 민중생존권쟁취·새누리당규탄 경남 민중대회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31
6847 “쿠바, 베네수엘라 등 진보집권경험을 말한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31
6846 민주노총 1만5천명 도심행진 “11월 전국노동자대회가 정점”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1
6845 [기획] 19대국회 노동입법과제4: 노조탄압중단 및 노동기본권보장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1
6844 SJM폭력사태 주도한 민모씨 등 5명 구속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1
6843 그리스 공공부문 파업, 군인과 판사들까지 가세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2
6842 대전시내버스노조 6일 파업예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3
6841 대선 앞두고 국내외 진보석학들 모여 '민중주권' 토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3
6840 장하나 ‘청년고용촉진특별법’ 개정안 당론발의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5
6839 이소선어머니 1주기 추도행사 열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5
6838 KBS 새노조 “이길영 신임이사장 인정할 수 없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5
6837 연가투쟁 선포한 MBC노조 "인내심이 바닥났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6
6836 [기획] 19대국회 노동입법과제5: 재벌규제강화 및 공공부문강화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6
6835 MBC노조 “사측이 불법사찰 사실상 시인”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6
6834 노동자 울리는 폭력용역, 업체중 절반이 ‘불법’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7
6833 건설기계노동자 300여명 현대에 “체불임금 청산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7
6832 서울대병원 청소노동자, 임금인상·정년연장 요구하며 파업결의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8
6831 재능교육 최종교섭 실패, 농성 더 길어지나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9
6830 열악한 환경서 근무하다 용광로 쇳물에 '참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0
6829 MBC노조 “김재철 해임시키지 않으면 총파업 재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0
6828 [기획] 19대국회 노동입법과제6: 민주노조 탄압으로 제기되는 노동입법과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1
6827 충남 미조직노동자 공단지역실태조사 벌여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1
6826 용광로사고 “기업에 의한 구조적인 살인”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2
6825 미국 시카고서 교사 3만명 파업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2
6824 세종시 프럼파스트 부당해고분쇄 민주노조사수 결의대회 개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3
6823 프럼파스트 해고지부장, 대표이사 집앞 1인시위 벌여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4
6822 [창간인터뷰] 강정구전동국대교수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6
6821 현대차 비정규노동자, 15일 스스로 목숨 끊어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