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최악의 살인기업>으로 현대제철과 대우건설이 선정됐다.

 

산재사망대책마련을위한공동캠페인단은 9일오전11시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에서 <2014년 살인기업 선정식>을 개최했다.

 

캠페인단에는 민주노총, 한국노총, 노동건강연대, 정의당 심상정국회의원, 매일노동뉴스 등으로 구성돼 있다.

 

캠페인단은 현대제철에 대해 <2013년 한해동안 10명의 노동자가 산재사고로 사망했다. 2013년 5월 하청노동자 5명이 아르곤가스에 질식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직후 시행한 고용노동부의 특별점검결과 산업안전보건법위반건수가 총 1123건에 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며 <생산량을 늘리는 와중에 법은 무시되고 안전은 뒷전>이라고 비판했다.

 

대우건설과 관련해서는 <지난 5월24일 수원 광교 대우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전복사고로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사망노동자는 사고전에 사망위험성에 대해 몇차례 경고했지만 대우건설은 안전점걸결과  <이상 없다>는 이유로 이를 묵살했다.>고 지적했다.

 

대우건설은 2011년에도 <최악의 살인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캠페인단은 또 다발하는 산재사고와 각종 안전사고의 책임주체로서 규개위(규제개혁위원회)를 선정하고 <특별상>을 수여했다.

 

이들은 <정부의 안전무시, 기업우선 정책의 핵심에 규개위가 있다.>며 <규개위는 법령 제·개정시 규제사항에 대해 심사를 통해 필요한 경우 관련규제를 철회하거나 개선하도록 권고하는 등 행정부의 기능을 넘어서는 초헌법적 기관이라는 비판과 더불어 업계의 로비가 의사결정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로비창구에 불과하다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안전보다 이윤을 우선하고, 월권을 자행하는 규제개혁위원회에 대한 사회적 여론을 환기시키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규개위는 정부의 규제정책을 심의·조정하고 규제의 심사·정비 등에 관한 사항의 종합적 추진을 위해 대통령직속으로 설치된 정부기구로,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맡고 있다.

 

캠페인단은 <한국의 기업은 안전은 뒷전이고 이윤만 추구하는 것은 정부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오히려 정부가 규제완화와 민영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기업이 안전을 무시해도 된다는 적극적 신호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위험을 외주화하는 한국의 원청대기업에게 하청노동자의 안전에 대한 책임도 지도록 강제하고, 저가낙찰, 속도경쟁, 실적위주의 관리와 운영을 일삼는 대기업에게 노동자안전에 대한 비용도 경영비용에 포함시켜야 한다.>며 <생명과 안전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 기업은 일벌백계차원에서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계속해서 <2014년 최악의 살인기업을 선정하며 잊지 않고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 다짐한다.>면서 <정부와 기업을 바꾸기 위해 더 힘 있게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캠페인단이 선정에 이용한 자료는  <2013년 중대재해 발생현황 보고 자료> 이며 , 하청기업의 사고에 대한 책임이 원청기업에 있다는 가정하에 하청기업의 사망재해를 원청기업에 집계했다.

 

다음은 캠페인단이 발표한 <2014년 최악의 살인기업> 순위다.

 

순위

기업명

산재사망자수

비고

1

현대제철

10

원자료에는 현대그린파워, 현대엠코, 현대건설, 현대종합설계 등이 원청으로 기록되어 있는 4건의 산재사례를 현대제철로 집계함. 이 사례 모두 시공사는 계열사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현대제철 당진공장내 구조물 시공 중 발생한 산재사례이기 때문임.

대우건설

10

3

대림산업

9

2013.3.14 여수산단 폭발사고로 6명이 사망한 사례 포함

4

천호건설, 중흥건설, 신한건설

7

2013.7.15 서울 올림픽대로 상수도관 공사시 발생한 수몰사고(노량진 수몰 사고)

5

롯데건설

6

6

현대건설

5

서희건설

5

포스코건설

5

2013.12.16 포항공장 산소 및 질소 탱크 질식으로 2명이 사망한 사례 포함

한신공영

5

SK건설

5

2013.12.19 부산 남북항대교 영도연결도로 시설붕괴사고로 4명이 사망한 사례 포함


김동관기자

 

번호 제목 날짜
877 롯데택배노사협상타결 ... 파업중단 file 2020.11.02
876 한국GM노조 .. 부분파업돌입 file 2020.11.02
875 고속도로교각공사현장 <크레인 쓰러져 노동자사망> file 2020.11.02
874 시흥도로공사노동자 <음주운전트럭에 사망> file 2020.11.02
873 태영건설 <집행정지가처분신청> 영업정지효력중단 file 2020.11.02
872 차별금지법반대기자회견 file 2020.11.02
871 이케아코리아지회 ... 쟁의행위돌입선포 file 2020.11.02
870 국토부 <전국건설현장안전점검> file 2020.11.02
869 대전을지대병원노조 ... 노사관계정상화투쟁선포기자회견 file 2020.11.02
868 이스타항공노조, 절반수준임금 타항공사채용 규탄 file 2020.11.02
867 코스콤노조, 공공성 훼손한 사장퇴진 강조 file 2020.11.02
866 충북돌봄노동자·교사들, 일방적인 초등돌봄확대정책중단 촉구 file 2020.11.02
865 강사들, 강사법시행후 대량해고 file 2020.11.03
864 또 과로사, 간선차노동자산재보험적용 절실 file 2020.11.03
863 대리운전노동자들 <타다, 플랫폼노동문제대안 마련하라> file 2020.11.03
862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돌봄교실지자체이관중단파업선포 file 2020.11.03
861 이케아코리아노조, 쟁의돌입 선포 file 2020.11.03
860 현대중공업도장노동자들, 집단피부질환 발생 file 2020.11.03
859 한국MSD노동자들, 분사전단협체결 시위 file 2020.11.03
858 제주택배도선료문제, 택배법연계 제정돼야 file 2020.11.03
857 아동센터노동자들, 동일노동동일임금 강조 file 2020.11.04
856 민주노총, 전태일3법쟁취농성 돌입 file 2020.11.04
855 JT저축은행노조, 기만적인 밀실매각 규탄 file 2020.11.04
854 서울보증보험노조, 독단경영·낙하산사장후보선임 반대 file 2020.11.04
853 금속노조, 노동자생존권쟁취 결의 file 2020.11.04
852 요양원돌봄노동자들, 코로나19확진자 차별금지지침 필요 file 2020.11.04
851 기아차노조, 전기·수소차핵심부품 공장내생산 등 쟁의행위 결정 file 2020.11.04
850 한국거래소청소노동자들, 처우보장집회금지철회 촉구 file 2020.11.04
849 가사노동자들, 고용개선법통과 호소 file 2020.11.04
848 50대여성용접해고노동자 <하청노동자 멈추면 모든 것 멈춘다> file 2020.11.04
847 현대차협력사일진베어링 ... 10년만에 금속노조재가입 file 2020.11.07
846 SH공사콜센터지회총파업돌입 file 2020.11.07
845 강릉자재운반컨베이어벨트에 <제2의 김용균노동자> 또나와 file 2020.11.07
844 원전시설관리노조 화장실청소거부 ... 임단협촉구 file 2020.11.07
843 전교조부산지부 <초등돌봄파업, 교사대체투입반대> file 2020.11.07
842 교사노조연맹-교육부 <본교섭개회식> file 2020.11.07
841 대우조선매각반대대책위 <특혜매각철회·방산비리엄중처벌>촉구 file 2020.11.07
840 배달라이더 <강제배차·시간독촉>실태폭로 file 2020.11.07
839 택배노조제주지부 <택배물류기본권실현촉구> file 2020.11.07
838 전북돌봄전담사 <지자체이관중단하라>총파업 file 2020.11.07
837 이케아노조 ... 쟁의행위돌입 file 2020.11.07
836 현대중노사 ... 임단협상견례 file 2020.11.07
835 기아차노조 ... 파업찬반투표가결 file 2020.11.07
834 민주노총 ... 전태일3법쟁취기자회견 file 2020.11.07
833 기아차노조 ... 파업권확보 file 2020.11.07
832 코레일네트웍스노동조합 ... 총파업선포 file 2020.11.07
831 돌봄전담사 ... 총파업대회 file 2020.11.07
830 발판매달려 일하던 청소노동자사망 file 2020.11.07
829 <택배노동자과로사 산재승인돼야> file 2020.11.07
828 <어선원노동위발족> file 2020.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