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민영화저지범국본(의료민영화·영리화저지와의료공공성강화를위한범국민운동본부)는 3일오전11시 서울 여의도 국회정문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정당은 국민건강 위협하는 의료법시행규칙 폐기와 의료민영화 중단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387969178012cff8a764b47414f0f9c5.jpg

 

 출처 : 전국보건의료노동조합

 

 

의료민영화저지범국본은 <의료민영화반대100만서명운동이 4개월만에 50만명에 육박하는 국민들이 동참하고 있으며, 각계각층의 비판과 우려기 이어지고 있음에도 박근혜정부는 일말의 입장변화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영리자회사 허용과 무제한적인 부대사업 확대정책은 모든 국민에게 재앙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뜻도 무시하고 민주주의의 기본절차까지 무시한 채 벌어지고 있는 박근혜정부의 행정독재에 대해 국회와 정당은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의료법을 무력화시키는 행정부의 국회 입법권 무시에 대해 사실상 눈감아주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보건복지위원회를 비롯한 국회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좌우할 중요현안인 의료민영화정책을 막아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의료민영화방지법안 조속한 통과 △입법권을 침해하는 박근혜정부 행정독재 저지를 위해 법제도적 방지방안 마련 △국회내 <의료민영화 중단과 의료공공성 강화 특위> 구성 △의료민영화 중단 및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사회적 대화기구 구성 △의료공공성 강화방안 마련 등을 촉구했다.

 

계속해서 <박근혜정부가 끝까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내팽개치는 의료민영화정책, 의료법시행규칙개정안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7월22일 보건의료노동자들의 2차파업투쟁과 민주노총의 동맹파업을 통해 전국민적 저항과 투쟁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엄중경고했다.

 

다음은 기자회견문 전문이다.

 

국회·정당은 국민건강 위협하는 의료법 시행규칙 폐기와 의료민영화 중단을 위해 적극 나서라 !!!

 

정부가 영리자회사 허용 가이드라인 및 부대사업 확대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발표한지 3주가 지났다. 의료민영화저지 범국민운동본부가 제안한 의료민영화반대 100만 서명운동이 4개월 만에 50만 명에 육박하는 국민들이 동참하고 있으며, 각계각층의 비판과 우려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일말의 입장 변화도 보이지 않고 있다.

수차례 지적했다시피 영리자회사 허용과 무제한적인 부대사업 확대 정책은 모든 국민에게 재앙이 될 것이다.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은 병원이 숙박업, 종합체육시설업, 의료용구업, 심지어 건물임대업까지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병원 건물 안에 쇼핑몰, 호텔, 대형연회장, 심지어 의원까지 입점할 수 있다. 또한 정부는 병원이 재벌기업의 돈을 끌어들여 돈벌이 영리자회사를 만들 수 있도록 했다. 환자들이 낸 치료비는 이제 더 좋은 의료서비스와 의료인력 확보에 쓰이는 대신 투자자들의 이윤으로 빠져나갈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병원을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 아니라 환자의 주머니를 터는 곳으로 바꾸려 하고 있다.

 

또 다른 심각한 문제는, 단 한 차례도 국민의 뜻을 묻는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국회의 입법권까지 무시하면서까지 일방적으로 의료민영화 정책이 추진되어 왔다는 점이다. 게다가 정부가 발표한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과 영리자회사 가이드라인은 "의료기관은 영리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 의료법을 위반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국민의 뜻을 무시했고, 행정부는 스스로 법을 어기면서까지 의료민영화를 밀어붙이고 있다.

 

그런데 국민의 뜻도 무시하고 민주주의의 기본 절차까지 무시한 채 벌어지고 있는 박근혜 정부의 행정 독재에 대해 국회와 정당은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의료법을 무력화시키는 행정부의 국회 입법권 무시에 대해 사실상 눈감아주고 있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영리자회사 허용을 가이드라인 발표를 통해 확정하려 하고 있으며,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은 7월 22일까지 입법예고기간을 거친 후 공포하겠다고 밝혔다. 여전히 많은 국민이 의료민영화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국회 입법조사처는 영리자회사 허용과 부대사업 확대, 서울대병원의 영리자회사 설립 등이 의료법 위반이라는 의견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지난주 국회 상임위 구성 이후, 이제 보건복지위원회를 비롯한 국회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좌우할 중요 현안인 의료민영화 정책을 막아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에 의료민영화 저지 범국본은 국회와 정당에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1. 돈벌이 부대사업을 전면 확대하는 것은 병원을 환자를 치료하는 곳이 아니라 환자를 대상으로 돈벌이를 추구하는 쇼핑몰, 숙박·운동시설, 부동산 투기처로 만드는 행위이다. 국회와 정당은 수익목적의 부대사업을 전면 확대하기 위한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 철회와 의료민영화 방지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위해 적극 나서라!

 

2. 영리자회사 설립과 수익목적의 부대사업 확대는 영리추구 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의료법 위반이자 국회 입법권을 무시한 행정독재이며, 국민 70%의 반대여론을 무시하는 민주주의 파괴행위이다. 국회와 정당은 국회의 입법권을 침해하는 박근혜 정부의 행정독재를 막기 위해 법제도적 방지방안을 마련하라!

 

3. 국회와 정당은 국민의 건강권을 파괴하는 의료민영화 정책 중단과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입장과 실행계획을 마련하고, 국회 내 “의료민영화 중단과 의료공공성 강화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라!

 

4. 국민의 건강권과 생명권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은 범국가적·범사회적 과제이다. 국회와 정당은 의료민영화 정책을 폐기하기 위한 범국민적 운동에 함께 하고,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의료민영화 중단 및 의료 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사회적 대화기구” 구성에 앞장서라!

 

5. 지금 필요한 것은 의료를 돈벌이 상품으로 만드는 의료민영화정책이 아니라 환자안전을 지키고 국민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의료공공성 강화정책이다. 국회와 정부는 돈벌이 과잉경쟁과 의료양극화 해소, 진주의료원 재개원과 공공의료 활성화, 환자안전을 위한 특단의 조치, 보건의료 인력 확충,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 획기적인 의료공공성 강화방안 마련에 적극 나서라!

 

국회와 정당이 이러한 전국민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의료민영화 정책에 반대하는 대다수 국민들의 준엄한 심판을 받을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박근혜 정부가 끝까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내팽개치는 의료민영화 정책,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의료민영화저지 범국본은 7월 22일 보건의료 노동자들의 2차 파업투쟁과 민주노총의 동맹파업을 통해 전국민적 저항과 투쟁을 확대해 나갈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

 

2014. 7. 3

 

의료민영화·영리화 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건강보험하나로시민회의, 건강세상네트워크, 경제민주화2030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관악주민연대, 광주전남보건의료단체협의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직장노동조합, 기독청년의료인회, 노동․정치․연대, 노동사회과학연구소, 노동인권회관, 노동자계급정당 추진위원회, 노동자계급정당 추진위위원회 학생위원회(준), 노동자연대, 노동자연대학생그룹, 노점노동연대, 녹색연합, 농민약국, 늘품약사회, 대전시립병원설립운동본부,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단체연대회의, 민주노동자전국회의,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민중과함께하는한의계진료모임 길벗, 민중의힘, 부정선거진상규명시민모임, 불교평화연대, 빈곤사회연대, 빈민해방실천연대(민주노련, 전철연), 사월혁명회, 사회진보연대, 새로하나, 새세상을여는천주교여성공동체, 서울YMCA시민중계실, 아이쿱소비자활동연합회, 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에너지정의행동, 예수살기, 우리신학연구소, 의료민영화저지와무상의료실현을위한운동본부, 일산병원노동조합, 자주통일과민주주의를위한코리아연대,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연맹, 공공운수노조·연맹 국민연금지부, 공공운수노조·연맹 의료연대본부, 공공운수노조·연맹 전국사회보험지부, 공공운수노조·연맹 전국철도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수노동조합,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전국빈민연합(전노련, 빈철련),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여성연대,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국학생행진, 전태일을따르는노동대학, 전태일재단, 조국통일범민족연합남측본부, 좌파노동자회,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참여연대, 천주교빈민사목위원회, 천주교인권위원회, 천주교인천교구노동사목, 천주교정의구현전국연합, 청년유니온, 카톨릭농민회, 평등교육실현을위한전국학부모회,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한국민주제약노동조합, 한국비정규센터,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한국진보연대, 한국청년연대, 행동하는의사회, 현장실천노동자연대, 현장실천사회변혁노동자전선,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21C한국대학생연합  

 

 

김진권기자

 

번호 제목 날짜
3227 민주노총비정규직지회<노조법2조개정촉구> file 2020.11.16
3226 금호타이어노사 <특별연장근로>시행합의 file 2020.11.16
3225 서울학비연대 총파업예고 file 2020.11.16
3224 기아차 실적증가 ... 변수는 노사갈등 file 2020.11.16
3223 한달새 소형타워크레인사고3건 ... 노조 노사민정합의안이행촉구 file 2020.11.16
3222 안동 <음식물자원화시설철거공사>중 사망사고 file 2020.11.16
3221 철원돼지농장화재<외국인노동자 숨져> file 2020.11.16
3220 목재공장화재 <소방기준강화>필요 file 2020.11.16
3219 폐기물재활용공장 100여곳 <화재예방현장점검> file 2020.11.16
3218 철도노조, 노동시간단축·교대제변경합의불이행 규탄 file 2020.11.13
3217 경북신용보증재단노조, 이사장즉각사퇴 강조 file 2020.11.12
3216 교육공무직본부 등, 2차돌봄파업 경고 file 2020.11.12
3215 민주노총, 손배소실태조사·손배·가압류대책마련 내세워 file 2020.11.11
3214 민주버스노조 <완전공영제 시행하라> file 2020.11.11
3213 민주노총, 노동개악 저지·전태일3법쟁취 비정규노동자결의대회 개최 file 2020.11.10
3212 샤넬코리아노조, 일방적인 인사이동 성토 file 2020.11.10
3211 민주노총, 임시처방중심 코로나19정책 지적 file 2020.11.10
3210 보건의료노조 <작은병·의원 근기법사각지대> file 2020.11.10
3209 성동조선해양노조, 생계지원대책 촉구 file 2020.11.10
3208 부산관광공사노조, 유스호스텔이관 규탄 file 2020.11.10
3207 르노삼성자동차노조, 금속노조가입재추진공약후보 당선 file 2020.11.09
3206 라이더유니온·택배노조, 과로사방지 법적보장 강조 file 2020.11.09
3205 인천공항카트노동자들, 정규직화약속이행 촉구 file 2020.11.09
3204 쥴릭파마솔루션즈서비스코리아노조 <쟁의기간중 대기발령은 단협위반> file 2020.11.09
3203 SK브로드밴드비정규직노동자들, 원거리발령철회 강조 file 2020.11.08
3202 보건복지상담센터노조 <15년 근무해도 최저임금> file 2020.11.08
3201 <김용균법시행>되지만 노동자들...내용 잘 몰라 file 2020.11.07
3200 <어선원노동위발족> file 2020.11.07
3199 <택배노동자과로사 산재승인돼야> file 2020.11.07
3198 발판매달려 일하던 청소노동자사망 file 2020.11.07
3197 돌봄전담사 ... 총파업대회 file 2020.11.07
3196 코레일네트웍스노동조합 ... 총파업선포 file 2020.11.07
3195 기아차노조 ... 파업권확보 file 2020.11.07
3194 민주노총 ... 전태일3법쟁취기자회견 file 2020.11.07
3193 기아차노조 ... 파업찬반투표가결 file 2020.11.07
3192 현대중노사 ... 임단협상견례 file 2020.11.07
3191 이케아노조 ... 쟁의행위돌입 file 2020.11.07
3190 전북돌봄전담사 <지자체이관중단하라>총파업 file 2020.11.07
3189 택배노조제주지부 <택배물류기본권실현촉구> file 2020.11.07
3188 배달라이더 <강제배차·시간독촉>실태폭로 file 2020.11.07
3187 대우조선매각반대대책위 <특혜매각철회·방산비리엄중처벌>촉구 file 2020.11.07
3186 교사노조연맹-교육부 <본교섭개회식> file 2020.11.07
3185 전교조부산지부 <초등돌봄파업, 교사대체투입반대> file 2020.11.07
3184 원전시설관리노조 화장실청소거부 ... 임단협촉구 file 2020.11.07
3183 강릉자재운반컨베이어벨트에 <제2의 김용균노동자> 또나와 file 2020.11.07
3182 SH공사콜센터지회총파업돌입 file 2020.11.07
3181 현대차협력사일진베어링 ... 10년만에 금속노조재가입 file 2020.11.07
3180 50대여성용접해고노동자 <하청노동자 멈추면 모든 것 멈춘다> file 2020.11.04
3179 가사노동자들, 고용개선법통과 호소 file 2020.11.04
3178 한국거래소청소노동자들, 처우보장집회금지철회 촉구 file 20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