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민주당 설훈의원, 진보당(통합진보당) 오병윤의원, 정의당 박원석의원 등 철도민영화저지특별위원회소속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박근혜정부는 철도민영화와 노동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사진1.JPG

 

 
   

                  사진2.JPG

 

 

이들은 '정부와 철도공사는 철도노조와 시민사회의 반대와 비판, 사회적 논의 요구 등에도 불구하고 수서발KTX주식회사 법인설립을 강행하고 철도노조파업을 불법으로 몰아 7884명 직위해제, 184명 고소고발, 25명 수배, 사무실압수수색, 77억 손해배상청구 등 사상초유의 탄압을 진행하고 있다'며 '사태해결을 위한 대화요구는 묵살되고 '법과 원칙'을 빙자한 탄압만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61%가 수서발KTX운영주식회사 설립은 철도민영화의 출발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여론조사에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가 주장하는 것처럼 수서발KTX운영주식회사설립이 민영화로 가는 단초가 아니라면 당연히 구두약속에 그칠 것이 아니라 철도민영화반대 입법을 해야하며 나아가 이를 논의하기 위한 국회소위와 사회적 논의틀을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철도파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수서KTX신설법인의 면허발급을 중단하고, 국회를 비롯한 사회적 논의에 나설 것 △철도노조파업에 대한 불법규정과 이를 빌미로 한 노동탄압을 중단할 것 △정부와 철도공사는 사회적 대화와 교섭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다음은 기자회견문 전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철도민영화와 노동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

 

민영화를 반대하는 철도노동자들의 파업이 22일 오늘로 14일차를 넘어서고 있다.

 

철도노조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수유지 업무자를 배치하고 파업에 들어갔지만 파업이 장기화 되면서 지난 15일 코레일이 무리하게 철도대학 1학년, 19살 학생을 충분한 교육도 없이 대체 투입하면서 수도권 전동열차 승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고 여전히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철도공사는 철도노조와 시민사회의 반대와 비판, 사회적 논의 요구 등에도 불구하고 수서발 KTX 주식회사 법인 설립을 강행하고 철도노조 파업을 불법으로 몰아 7884명 직위해제, 184명 고소고발, 25명 수배, 사무실 압수수색, 77억 손해배상 청구 등 사상초유의 탄압을 진행하고 있다. 사태 해결을 위한 대화 요구는 묵살되고 ‘법과 원칙’을 빙자한 탄압만이 지속되고 있다.

 

철도노조는 12월19일 1만여명이 참여한 2차 대규모 상경 집회를 개최하고, 12월 23일 민주노총 확대간부 파업과 각계 각층이 함께 하는 ‘철도 민영화 저지 범국민 촛불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혀 노정간의 대립과 사회적 갈등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국민의 61%가 수서발KTX 운영주식회사를 설립은 철도민영화에 출발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여론조사에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주장하는 것처럼 수서발KTX 운영주식회사 설립이 민영화로 가는 단초가 아니라면 당연히 구두약속에 그칠 것이 아니라 철도민영화반대 입법을 해야 하며 나아가 이를 논의하기 위한 국회소위와 사회적 논의틀을 구성해야 한다.

 

그럼에도 정부는 FTA에 위배된다고 민영화 반대 법안 입법화를 반대하고 심지어는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적자 철도노선을 겨냥해 "공기업이 정말로 공공부문에서 운영하기가 부적합한 경우는 민간이 들어올 수밖에 없지 않느냐"고 사실상 민영화를 염두에 발언을 하는 등 국민들의 민영화 의혹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부와 새누리당의 밀어붙이기와 불통에 대해 종교계, 법조계, 학계, 문화계, 청년, 학생, 농민 등 모든 시민사회가 나서 정부를 비판하고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오늘 모인 국회의원들은 국민의 요구에 따라 장기화 되고 있는 철도 파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당적으로 함께 입장을 밝힌다.

 

하나. 정부는 수서 KTX 신설 법인의 면허 발급을 중단하고, 국회를 비롯한 사회적 논의에 나서라.

 

철도 민영화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의혹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영화가 아니니 믿어달라”고 하며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옳지 않다. 수서 KTX 개통은 2015년 말로 사회적 논의를 통해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으며 이것이 [국민적 동의가 없으면 철도 등 국가기관산업을 민영화하지 않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하나.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불법규정과 이를 빌미로 한 노동탄압을 중단하라.

 

철도노조 파업 참가자 직위해제, 고소고발, 체포영장 발부, 노조 사무실 압수수색, 손해배상 청구 등 노동탄압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탄압은 헌법과 법률로 보장된 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ILO를 비롯한 국제노동단체의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철도노조 지도부를 체포한다는 명목으로 민주노총 사무실까지 강제적으로 진입하겠다는 것은 노동계 전체에 대한 탄압이다. 우리는 이러한 노동탄압과 민주주의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행위를 온 몸으로 막아낼 것이다.

 

하나. 정부와 철도공사는 사회적 대화와 교섭에 나서라.

 

공권력을 동원한 탄압과 징계 위협으로는 현재의 상황을 해결할 수 없고 더 큰 갈등만을 야기할 뿐이다.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박근혜 대통령이 수용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또한 여당을 비롯한 정치권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한다.

 

오늘 우리가 밝힌 요구가 관철되길 간절히 기원한다.

 

만약 이러한 국민적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시간이 갈수록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극단적인 사태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다.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박근혜 정부는 철도민영화와 노동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

 

2013년 12월 22일

철도민영화 반대, 철도노동자 탄압 중단, 대화 촉구 국회의원 일동


정재연기자

*기사제휴 : 21세기민족일보

 

번호 제목 날짜
3377 민주노총 “철도사유화 해결위해 새누리당 응답하라” file 2013.12.16
3376 현대차, 공장에 용역 투입해 노조원 17명 부상 file 2012.12.21
3375 노동자 울리는 폭력용역, 업체중 절반이 ‘불법’ file 2012.09.07
3374 정규직-비정규직 임금격차 3배 역대 최저치 file 2017.04.01
3373 [현장사진]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총궐기대회 file 2013.11.10
3372 민주노총, 24일 정기대대에서 직선제2년유예안 상정 file 2013.01.23
3371 공군체력단련장지회 〈부당해고는 끝까지 투쟁하겠다〉 file 2017.06.06
3370 “철도노조 대량징계, 적반하장의 대량학살” ... 130명 해고, 274명 정직·감봉 file 2014.03.03
3369 금속노조, 투쟁사업장 돌며 1박2일간 상경집회 file 2012.12.10
3368 노동부, 이마트 부당노동행위혐의 수사 본격화 file 2013.02.08
3367 시민사회 〈진짜사장 LG유플러스 구본무회장 나와라!〉 file 2015.04.16
3366 5000명 철도노동자 〈민주노조 사수! 강제전출 철회!〉 ... 60여명 집단삭발 file 2014.03.30
3365 삼성전자서비스지회 전국 17개분회, 쟁의행위 결의 file 2014.01.13
3364 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임금요구안 쟁취〉 무기한 농성 돌입 file 2015.01.22
3363 삼성전자서비스노조 파업투쟁 전국 34개센터로 확산 file 2014.02.04
3362 전교조서울지부〈시국선언교사징계위 자체가 부당〉 file 2017.07.10
3361 현대차비정규직, 7일 하루 전면파업 돌입 file 2012.12.07
3360 공무원노조 “공무원해직자복지특별법 제정하라” file 2012.11.01
3359 〈해고는 살인! 영전강집단해고 즉각 철회하라!〉 file 2016.02.23
3358 금속노조, 파업결의대회 열어 “노동자의 힘으로” file 2013.01.30
3357 철도노조 “KTX민영화와 철도자산회수 중단 안하면 총파업” file 2012.10.14
3356 “박근혜정부는 위법한 공공기관노사관계개입 중단하라” file 2013.11.05
» 야권 “박근혜정부 철도민영화, 노동탄압 즉각 중단해야” file 2013.12.22
3354 검찰, 최강서장례치르자마자 김진숙 구속영장청구 file 2013.02.26
3353 16일 여수산단 폭발사고 규탄대회 ... 상반기투쟁 ‘핵’ 되나 file 2013.03.16
3352 서울도시철도노조 “반복되는 기관사자살, 책임자 처벌하라” ... 1년6개월 3명 자살 file 2013.10.23
3351 28일 ‘세계산재사망노동자추모의날’ ...OECD 25개국중 23위 산재‘선진국’ file 2013.04.27
3350 금속 대의원대회, 6대 교섭요구안·투쟁방침 확정 file 2013.03.01
3349 공무원노조 김중남위원장 단식 16일째 쓰러져 file 2013.01.30
3348 민주노총, ‘임원 직선제 유예안에 대한 7문7답’ 발표 file 2012.10.27
3347 민주노총 김영훈위원장 “가장 무거운 정치적 책임질 것” file 2012.10.27
3346 진보노동자회 ‘박근혜파쇼정권, 철도민영화계획 철회하고 스스로 물러나야’ file 2013.12.13
3345 기륭전자해고노동자 8년만에 일터로 ... 2일 첫출근 기자회견 file 2013.05.01
3344 〈영리목적 부대사업확대, 과잉진료, 의료비폭등의 대재앙 올 것〉 file 2014.09.19
3343 삼성전자서비스 〈위장폐업〉 증거 드러나 file 2014.04.01
3342 금속노조, ‘3대대정부요구안’ 정부에 전달 file 2013.05.15
3341 현대차 정규직화 꼼수에 비정규직노조 잔업거부 file 2012.09.25
3340 CJ택배노동자들, 여의도서 광고탑고공농성 돌입 file 2015.07.13
3339 시민사회, 씨앤앰사태 해결 위한 노숙농성 돌입 file 2014.12.10
3338 철도노조, 추가징계규탄 및 탄압중단요구 file 2014.06.11
3337 삼성전자서비스, 고객민원이유로 욕설과 폭언 ... 고최종범씨가 남긴 녹취록 file 2013.11.02
3336 보건의료노조, 2차특별교섭에서 진주의료원정상화방안 제출 file 2013.04.26
3335 용산참사유가족 “박근혜, 언제까지 침묵하고 외면할 건가” file 2013.01.25
3334 민주노총 4년만에 총파업, SJM서 “불법직장폐쇄와 용역폭력 규탄한다” file 2012.08.30
3333 “진주의료원 반드시 지방의료원으로 재개원 돼야” file 2013.11.05
3332 고최종범조합원부인 “별이아빠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십시오” file 2013.11.24
3331 공공부문 투쟁본부 출범 “노동기본권 쟁취” file 2013.03.01
3330 희망행진단, 사회문제해결 촉구하며 행진 file 2012.12.06
3329 서울도시철도공사 불법노무관리 폭로 잇따라 file 2013.11.14
3328 코리아연대 '박대통령은 철도사영화 철회하고, 스스로 하야해야' file 2013.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