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민주당 설훈의원, 진보당(통합진보당) 오병윤의원, 정의당 박원석의원 등 철도민영화저지특별위원회소속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박근혜정부는 철도민영화와 노동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사진1.JPG

 

 
   

                  사진2.JPG

 

 

이들은 '정부와 철도공사는 철도노조와 시민사회의 반대와 비판, 사회적 논의 요구 등에도 불구하고 수서발KTX주식회사 법인설립을 강행하고 철도노조파업을 불법으로 몰아 7884명 직위해제, 184명 고소고발, 25명 수배, 사무실압수수색, 77억 손해배상청구 등 사상초유의 탄압을 진행하고 있다'며 '사태해결을 위한 대화요구는 묵살되고 '법과 원칙'을 빙자한 탄압만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61%가 수서발KTX운영주식회사 설립은 철도민영화의 출발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여론조사에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가 주장하는 것처럼 수서발KTX운영주식회사설립이 민영화로 가는 단초가 아니라면 당연히 구두약속에 그칠 것이 아니라 철도민영화반대 입법을 해야하며 나아가 이를 논의하기 위한 국회소위와 사회적 논의틀을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철도파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수서KTX신설법인의 면허발급을 중단하고, 국회를 비롯한 사회적 논의에 나설 것 △철도노조파업에 대한 불법규정과 이를 빌미로 한 노동탄압을 중단할 것 △정부와 철도공사는 사회적 대화와 교섭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다음은 기자회견문 전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철도민영화와 노동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

 

민영화를 반대하는 철도노동자들의 파업이 22일 오늘로 14일차를 넘어서고 있다.

 

철도노조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수유지 업무자를 배치하고 파업에 들어갔지만 파업이 장기화 되면서 지난 15일 코레일이 무리하게 철도대학 1학년, 19살 학생을 충분한 교육도 없이 대체 투입하면서 수도권 전동열차 승객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고 여전히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철도공사는 철도노조와 시민사회의 반대와 비판, 사회적 논의 요구 등에도 불구하고 수서발 KTX 주식회사 법인 설립을 강행하고 철도노조 파업을 불법으로 몰아 7884명 직위해제, 184명 고소고발, 25명 수배, 사무실 압수수색, 77억 손해배상 청구 등 사상초유의 탄압을 진행하고 있다. 사태 해결을 위한 대화 요구는 묵살되고 ‘법과 원칙’을 빙자한 탄압만이 지속되고 있다.

 

철도노조는 12월19일 1만여명이 참여한 2차 대규모 상경 집회를 개최하고, 12월 23일 민주노총 확대간부 파업과 각계 각층이 함께 하는 ‘철도 민영화 저지 범국민 촛불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혀 노정간의 대립과 사회적 갈등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국민의 61%가 수서발KTX 운영주식회사를 설립은 철도민영화에 출발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여론조사에 나타나고 있다. 정부가 주장하는 것처럼 수서발KTX 운영주식회사 설립이 민영화로 가는 단초가 아니라면 당연히 구두약속에 그칠 것이 아니라 철도민영화반대 입법을 해야 하며 나아가 이를 논의하기 위한 국회소위와 사회적 논의틀을 구성해야 한다.

 

그럼에도 정부는 FTA에 위배된다고 민영화 반대 법안 입법화를 반대하고 심지어는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적자 철도노선을 겨냥해 "공기업이 정말로 공공부문에서 운영하기가 부적합한 경우는 민간이 들어올 수밖에 없지 않느냐"고 사실상 민영화를 염두에 발언을 하는 등 국민들의 민영화 의혹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부와 새누리당의 밀어붙이기와 불통에 대해 종교계, 법조계, 학계, 문화계, 청년, 학생, 농민 등 모든 시민사회가 나서 정부를 비판하고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오늘 모인 국회의원들은 국민의 요구에 따라 장기화 되고 있는 철도 파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당적으로 함께 입장을 밝힌다.

 

하나. 정부는 수서 KTX 신설 법인의 면허 발급을 중단하고, 국회를 비롯한 사회적 논의에 나서라.

 

철도 민영화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의혹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영화가 아니니 믿어달라”고 하며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옳지 않다. 수서 KTX 개통은 2015년 말로 사회적 논의를 통해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으며 이것이 [국민적 동의가 없으면 철도 등 국가기관산업을 민영화하지 않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하나.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불법규정과 이를 빌미로 한 노동탄압을 중단하라.

 

철도노조 파업 참가자 직위해제, 고소고발, 체포영장 발부, 노조 사무실 압수수색, 손해배상 청구 등 노동탄압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탄압은 헌법과 법률로 보장된 노동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ILO를 비롯한 국제노동단체의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철도노조 지도부를 체포한다는 명목으로 민주노총 사무실까지 강제적으로 진입하겠다는 것은 노동계 전체에 대한 탄압이다. 우리는 이러한 노동탄압과 민주주의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행위를 온 몸으로 막아낼 것이다.

 

하나. 정부와 철도공사는 사회적 대화와 교섭에 나서라.

 

공권력을 동원한 탄압과 징계 위협으로는 현재의 상황을 해결할 수 없고 더 큰 갈등만을 야기할 뿐이다.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박근혜 대통령이 수용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또한 여당을 비롯한 정치권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한다.

 

오늘 우리가 밝힌 요구가 관철되길 간절히 기원한다.

 

만약 이러한 국민적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시간이 갈수록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극단적인 사태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다.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박근혜 정부는 철도민영화와 노동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

 

2013년 12월 22일

철도민영화 반대, 철도노동자 탄압 중단, 대화 촉구 국회의원 일동


정재연기자

*기사제휴 : 21세기민족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반일행동, 미버지니아주애난데일소녀상앞에서 논평발표·일인시위 진보노동뉴스 2021.02.24
5520 [현장사진] 민주노총, 철도노조 파업지도부 사수 촛불문화제 개최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16
5519 “19일 철도파업 지지하는 전국민이 시청으로 모이자!” file 김동관기자 2013.12.17
5518 공공운수노조연맹 ‘철도노조압수수색은 국민에 대한 침탈’ file 김진권기자 2013.12.17
5517 금속노조, 대법원에 통상임금관련 공정판결 촉구 file 나영필기자 2013.12.17
5516 [인터뷰] 민주노총 김영훈전위원장 “민주노총이라는 자부심 갖고 새날 준비하는 투쟁 만들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17
5515 화물연대, 철도파업지지 ... 대체운송거부 비조합원까지 확대 file 김동관기자 2013.12.18
5514 진보노동자회 ‘12월19일, 치욕의 부정선거일을 넘어 21세기전민항쟁의 날로’ file 진영하기자 2013.12.18
5513 철도노조, 19일 대규모 2차상경투쟁 예고 ... 검찰, 18명 추가체포영장 발부 file 김진권기자 2013.12.18
5512 코리아연대, 전민항쟁 호소문 발표 … '박근혜퇴진, 새누리당해체'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19
5511 노동계, 대법 통상임금판결에 ‘분노’ file 나영필기자 2013.12.19
5510 민주노총 “계속 탄압한다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울 것” file 김진권기자 2013.12.20
5509 “모두 함께 반박근혜전선으로” ... 3만여명 서울광장 집결 file 김동관기자 2013.12.20
5508 “박근혜1년,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은 안녕하지 못하다” file 김동관기자 2013.12.20
5507 민주노총 “정리해고 남발하는 근기법 즉각 개정하라” file 김동관기자 2013.12.20
5506 [현장사진] ‘철도사영화 저지’ 총파업 13일째 ... 총파업승리 결의대회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1
5505 [현장사진] “시대의 안부를 묻습니다. 안녕들하십니까” ... 대자보번개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1
5504 [현장사진] 박근혜정권, 민주노총 불법침탈 ... 민주노총역사이래 처음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2
» 야권 “박근혜정부 철도민영화, 노동탄압 즉각 중단해야”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2
5502 민주노총 신승철위원장 “박근혜정권과 전쟁하겠다” ... 28일 총파업 file 김동관기자 2013.12.22
5501 고최종범조합원 장례 24일 치러 ... ‘최종범의 꿈은 이제 시작이다’ file 김진권기자 2013.12.23
5500 [메이데이] 총파업투쟁과 민중항쟁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3
5499 [현장사진] “박근혜 퇴진!” ... 민주노총 확대간부파업결의대회 file 김동관기자 2013.12.23
5498 “박근혜퇴진! 총파업 결의” ... 민주노총 확대간부파업결의대회 file 김동관기자 2013.12.23
5497 “22일은 민주주의가 무덤으로 내팽개쳐진 날” file 나영필기자 2013.12.23
5496 [현장사진] “열사여 부디 편히 잠드소서” ... 최종범노동열사전국민주노동자장 노제 file 김동관기자 2013.12.24
5495 전국지하철노조, 철도노조연대 ‘준법투쟁’ 선언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4
5494 코리아연대 '28일 100만 시민행동의 날 성사시키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4
5493 “최종범열사, 그대가 진정 전태일입니다” ... 최종범노동열사 전국민주노동자장 file 김동관기자 2013.12.24
5492 공공운수노조연맹, 12월28일·1월4일 총파업 file 김진권기자 2013.12.25
5491 “전교조위원장 구속영장청구는 치졸한 보복행위” ... 25일 영장실질심사 진행 file 나영필기자 2013.12.25
5490 철도노조지도부 일부 조계사에 은신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25
5489 철도노조 김명환위원장, 다시 민주노총으로 들어가 file 김동관기자 2013.12.26
5488 [현장사진] “가자 총파업으로!” ... 민주노총 결의대회 file 김동관기자 2013.12.26
5487 “가자 총파업으로! 박근혜 OUT!” ... 민주노총 결의대회 file 김동관기자 2013.12.26
5486 김명환위원장 “수서발KTX면허발급 중단하면 파업중단할 수 있다” file 김동관기자 2013.12.27
5485 전세계 곳곳에서 “철도파업 지지, 민주노총불법침탈 규탄” file 최일신기자 2013.12.27
5484 양대노총 공공부문, ‘공공기관 부채원인’ 감사원 감사 청구 file 김진권기자 2013.12.27
5483 국회 환노위, ‘철도파업’ 노·사·정 중재 실패 ... 철도노조 “정치권이 나서야” file 나영필기자 2013.12.27
5482 민주노총, 12월28일·1월9일·1월16일 총파업 ... 총파업투쟁본부체계 전환 file 김진권기자 2013.12.27
5481 “12월28일 박근혜정권 몰락 시작” ... 10만 집결 file 김동관기자 2013.12.29
5480 철도노조, 철도산업발전소위원회 구성 ‘환영’ ... 노사교섭중 file 김진권기자 2013.12.30
5479 [글] 최선을 다한 철도노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31
5478 철도노조 '조합원현장복귀' 명령 ... 민주노총 총파업투쟁은 지속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31
5477 박대통령지지율 48.5%, 당선 1년만에 최저치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31
5476 [주간브리핑] 조평통 공개질문장, 12.28 10만집결, 이란 새원심분리기 설치 등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31
5475 [글] 계속항쟁과 정치세력화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31
5474 철도노조 현장복귀 ... 현장투쟁으로 전환 file 나영필기자 2013.12.31
5473 [인터뷰] 단병호 “대중운동 활성화와 정치운동 통해 세상을 바꾸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3.12.31
5472 철도산업발전소위 첫회의 … 시작부터 '파열음' file 진보노동뉴스 2014.01.01
5471 2013년 10대 대학뉴스 file 진보노동뉴스 2014.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