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30일 북 조국통일위원회가 매체 <우리민족끼리>를 통해 <도쿄올림픽과 일본의 정치적야심>을 보도했다.

 

보도는 <일본은 도쿄올림픽에서 일본제국주의 상징으로 불리는 욱일기 사용을 고집해 나서는가 하면 올림픽봉화이어달리기 행사를 소개하는 지도에 독도를 일본영토로 표기해 놓았다>라며 <일본의 행태가 세인의 경악을 자아낸다>라고 지적했다. 

 

이어서 <이뿐만이 아니라 저들의 역대 금메달수상자들을 소개한 도쿄올림픽박물관이라는 곳에는 1936년 베를린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금메달 수상자인 조선사람 손기정 선수를 맨 첫자리에 버젓이 올려놨다>라며 <참으로 후안무치하기 짝이 없는 일본>이라고 비판했다. 

 

계속해서 <도쿄올림픽 전야에는 올림픽 이념은 어디가고 일본의 역사왜곡과 영토강탈 야망, 피묻은 침략역사에 대한 미화분식만이 배회하고 있다>라며 <도쿄올림픽 종목에는 남의 나라에 대한 영토강탈과 역사왜곡이라는 종목이 새로 추가되기라도 한 것이냐. 올림픽마저 불순한 정치적 야망실현에 악용하려드는 일본이야말로 오늘의 아시아판 나치범죄 국가라고 하겠다.>라고 규탄했다. 

 

번호 제목 날짜
24 코리아연대, 유엔사무총장·안보리이사국에 공개서한 발송 file 2013.03.07
23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6.반전평화운동과 민족자주권수호운동이 절실 file 2013.03.04
22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6.반전평화운동과 민족자주권수호운동이 절실 file 2013.03.04
21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6.반전평화운동과 민족자주권수호운동이 절실 file 2013.03.04
20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6.반전평화운동과 민족자주권수호운동이 절실 file 2013.03.04
19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5.“광명성계열 위성, 위력한 장거리로케트 계속발사” file 2013.03.04
18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5.“광명성계열 위성, 위력한 장거리로케트 계속발사” file 2013.03.04
17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4.1993년부터 2013년까지, 제재의 실효성은? file 2013.03.04
16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4.1993년부터 2013년까지, 제재의 실효성은? file 2013.03.04
15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3.문제는 북에 대한 ‘이중기준’ file 2013.03.04
14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3.문제는 북에 대한 ‘이중기준’ file 2013.03.04
13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2.주변국 반응과 안보리 대북제재 file 2013.03.04
12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2.주변국 반응과 안보리 대북제재 file 2013.03.04
11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1.북의 위성발사와 핵시험 성공 file 2013.03.04
10 ‘세르비아의 총성’을 막아야 한다 1.북의 위성발사와 핵시험 성공 file 2013.03.04
9 코리아연대 백서발간 ‘때를 놓치면 ‘세르비아의 총성’ 울릴 것’ file 2013.02.26
8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진보운동가는 옳은 일 끝까지 관철해야 한다” file 2013.02.22
7 코리아연대, 미대사관앞 반전평화, 민족자주권수호 결의대회 ... “인류역사의 대진리를 결정하는 역사적 싸움” file 2013.02.21
6 코리아연대, 미대사관앞 반전평화, 민족자주권수호 결의대회 ... “인류역사의 대진리를 결정하는 역사적 싸움” file 2013.02.21
5 코리아연대, 미대사관앞 반전평화, 민족자주권수호 결의대회 ... “인류역사의 대진리를 결정하는 역사적 싸움” file 2013.02.21
4 코리아연대, 미대사관앞 반전평화, 민족자주권수호 결의대회 ... “인류역사의 대진리를 결정하는 역사적 싸움” file 2013.02.21
3 북, 기업소독립채산제 전면실시 ... 당비서·지배인 책임경영제 file 2012.12.30
2 강정구 “2013년을 평화협정원년의 해로” ... ‘중·미세력교체기 한반도의 선택과 평화협정’ 2012.09.01
1 강정구 “2013년을 평화협정원년의 해로” ... ‘중·미세력교체기 한반도의 선택과 평화협정’ 201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