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하나와 서울자치포럼은 4월30일 러시아노동계급진보정당활동가인 드미트리 쿠즈민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쿠즈민은 <여러분들이 러시아를 궁금해하듯이 나도 마찬가지다. 나에게 남코리아는 너무나 다른 나라다.>라고 말했다. 그는 <노조활동가에게 자살율이 높다는 것을 들었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러시아TV에서는 남코리아를 마치 낙원처럼 선전하면서 북에 대한 제재를 정당화한다.>고 알려주었다. 그러면서 <러시아TV소유주 중에 삼성족벌인 사람이 있다.>고 언급했다.

사회를 맡은 민중민주당(환수복지당)서울시당위원장은 먼저 러시아정치현황에 대해서 물었다.

쿠즈민은 <소련 붕괴이후 러시아는 자본주의국가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두마에서 제1야당으로 러시아연방공산당이 40여석을 차지하고 있지만 실제로 야당들이 정치활동을 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지난 대선때 선관위는 러시아공산주의민중당대선후보에 대한 10만명의 서명을 거절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식적으로 노조원들은 정치활동에 참여할 수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계속해서 <푸틴이 미국에 반대하는 조치를 취한 이유는 러시아의 부르주아들에게 해가 되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러시아가 시리아를 방어해주지 않았다면 아프카니스탄·이라크와 같은 결과를 맞이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한편 <노동환경법 등은 사회분야에서 소련의 마지막 성취물로 남아있는데 지금 푸틴정부가 수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물가가 상승하는데 임금은 오르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연금을 주는 나이를 여성은 60세에서 62세로 남성은 65세에서 67세로 높이려 한다.>고 규탄했다.

이어서 <러시아인들에게 역사상 가장 좋았던 정치인이 누구였냐고 물어보면 푸틴도 높은 지지율을 받지만 그보다 스탈린이 훨씬 더 높은 지지율을 받는다.>고 밝혔다.

사회자에게서 새로운 질문을 받은 쿠즈민은 <나는 내 어린 시절을 기억한다.>며 <집이 국가에서 제공되었고 모든 교육을 무상으로 받았다.>고 언급했다.

계속해서 <1961년 소련의 기술이 고도로 발전되었고 매년 노동자들의 임금수준도 인상되었다. 그렇지만 자본주의방식의 도입으로 중소기업가와 자영업자들이 점점 더 부를 축적하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은 소련에 대한 악선전과 악선동을 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성공에 취해 있고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있던 정치인들은 미국정치인들이 전용기를 타고 좋은 혜택을 받고 있는것을 부러워했다.>고 개탄했다.


1.jpg

3.jpg

4.jpg

6.jpg
번호 제목 날짜
201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⑥ “미국의 적대행위가 북코리아의 자위력 필요하게 만들어” file 2013.04.03
200 사이프러스 '법인세감면·카지노허용' 추진 file 2013.04.03
199 '사이프러스대통령, 측근들에게 자금통제계획 사전에 흘려' file 2013.04.03
198 프랑스고등법원, 대형마트야간노동협약에 ‘무효’판결 ... 저녁9시이후 노동은 안돼 file 2013.04.05
197 유로존실업률 12%, EU실업률수치측정사상 최고치 도달해 file 2013.04.06
196 쿠바 카스트로 “코리아핵전쟁 피해야” ... “오바마는 미국역사상 최악의 인물로 남을 것” file 2013.04.07
195 노동자대통령 마두로, 차베스 이어 베네수엘라 볼리바리안혁명 이끈다 file 2013.04.15
194 볼리비아 모랄레스 “미국, 베네수엘라에서 쿠데타 준비” file 2013.04.17
193 [글] 우고 차베스의 계승자, 니콜라스 마두로 file 2013.04.17
192 [글] 트로이카의 사이프러스 경제침탈 가시화 file 2013.04.19
191 ‘코리아의 평화’ 제2회 코리아국제컨퍼런스 프랑스 파리서 열려 2013.04.22
190 니콜라스마두로 베네수엘라대통령 취임 ... 차베스유산 계승 밝혀 file 2013.04.22
189 '코리아의 평화' 제2회 코리아국제컨퍼런스 2부 발표 2013.04.26
188 '코리아의 평화' 제2회 코리아국제컨퍼런스 1부 발표 2013.04.26
187 [글] 혁명은 계속된다, 마두로대통령과 함께 file 2013.04.26
186 사측탄압으로 프랑스흐노노동자 자살 ... “야간협박과 탄압, 파업권 존재하지 않아” file 2013.04.26
185 28일 ‘세계산재사망노동자추모의날’ ...OECD 25개국중 23위 산재‘선진국’ file 2013.04.27
184 [메이데이특집] ① ‘아랍의 봄’의 발원지 튀니지혁명과 노동운동의 현주소 <1부> file 2013.04.29
183 [메이데이특집] ② ‘아랍의 봄’의 발원지 튀니지혁명과 노동운동의 현주소 <2부> file 2013.04.29
182 [메이데이특집] ③ ‘아랍의 봄’의 발원지 튀니지혁명과 노동운동의 현주소 <3부> file 2013.05.01
181 [메이데이특집] ④ 그리스 경제위기와 노동투쟁 현황 <1부> file 2013.05.01
180 [메이데이특집] ⑤ 그리스 경제위기와 노동투쟁 현황 <2부> file 2013.05.01
179 '투쟁부터 축제까지' ... 전세계 각지 국제노동절 기념집회 열려 file 2013.05.02
178 [메이데이특집] ⑦ 포르투갈, 살인적인 긴축정책에 맞선 노동투쟁 file 2013.05.03
177 방글라데시 의류공장붕괴 사망자 620명 육박 ... 정부, 노동조건개선책 발표 file 2013.05.07
176 프랑스 긴축반대집회 18만명 모여 ... 5~6월 대중투쟁으로 계속 이어질 것 file 2013.05.07
175 코리아연대, 바스티유광장에서 '반전평화목소리' 2013.05.07
174 프랑스텔레콤, 2만2000노동자 ‘계획적 해고’ 문건 발견 file 2013.05.10
173 국제·민주·한국노총 “박근혜정부는 국제노동기준 준수하라” file 2013.09.16
172 브라질, 금융파업장기화 ... 은행 절반 정지 file 2013.10.07
171 ILO이사회, 전교조법외노조화 규탄성명 채택 file 2013.11.01
170 “박근혜는 하야하라” … 파리 촛불집회 열려 file 2013.11.04
169 런던에서도 '박근혜하야' 촛불집회 이어져 2013.11.06
168 뉴욕에서도 '박근혜는 합법적인 대통령이 아닙니다' 2013.11.18
167 세계교원단체총연맹 “해고자문제로 노조설립 취소, 남코리아가 유일” file 2013.11.19
166 국제운수노련 “남코리아정부는 철도민영화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 file 2013.12.12
165 전세계 곳곳에서 “철도파업 지지, 민주노총불법침탈 규탄” file 2013.12.27
164 영국철도노조간부, '남코리아철도노조지지' 삭발 file 2014.01.14
163 30일 아프리카동맹회의 에티오피아에서 개막 file 2014.02.01
162 베를린서 일본군성노예문제해결 촉구 캠페인 ... 유럽순회 계획 file 2014.02.09
161 남코리아·유럽철도노동자, 철도사유화 저지 공동행동 나서 file 2014.02.20
160 코리아연대초청 이브 헤미, 철도노조와 간담회 file 2014.04.25
159 국제공공노련 〈〈세월〉호참사, 민영화와 규제완화 정책이 원인〉 file 2014.06.09
158 〈〈세월〉호는 학살〉 ... 프랑스진보석학 농성장방문 file 2014.10.01
157 공공운수노조, 세계 운수노동자들과 함께 안전 위한 투쟁에 나서 file 2014.10.06
156 국제노총 아태총회, 쌍용차해고자복직촉구결의문 채택 file 2015.08.04
155 국제노동계, 박근혜<정권>노동탄압 규탄 ... ILO에 긴급개입 요청 file 2015.11.25
154 양대노총제조공투본·국제제조산별, 국제연대주간 개최 file 2016.03.20
153 미 시카고공항 비정규직노동자들 집단소송으로 합의금 받아 file 2016.09.16
152 국제노총(ITUC), 삼성보고서 발간 file 2016.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