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결의를 추진하는 국제위원회'가 포츠담에서 발족했다.
 
11일부터 '코리아와 미국사이의 정전협정종식과 평화체제수립 중재를 위한 유엔의 책임'이라는 주제로 포츠담에서 열린 '코리아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제대회'에 참가한 국제인사들은 이같은 위원회를 발족하고, 유엔결의추진을 강조했다.

 
 
1119 포츠담사진7.jpg
 
 

1119 포츠담사진6.jpg
 

 
1119 포츠담사진5.jpg
 

 
1119 포츠담사진4.jpg
 

 
1119 포츠담사진3.jpg
 
 

1119 포츠담사진2.jpg

 
 
 
1119 포츠담사진8.jpg
 
 
 
이들은 발기문을 통해 '1947년 11월14일, 이날은 유엔역사상 가장 수치스러운 날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라고 밝히고, '이날 소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엔코리아임시위원단의 감시하에 인구비례에 따른 남북(북남)총선거를 실시하고 여기에서 선출된 대표로써 통일정부를 구성한다'는 미국의 원안이 유엔총회에 통과되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불공정하고 그릇된 유엔총회결의로부터 이후 남코리아만의 단독선거가 진행되고 코리아의 남북(북남)분단이 고착화되며 이후 1950년 6월25일 3년간의 코리아전이 잉태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이에 '우리는 유엔총회결정 66돌이 되는 오늘 2013년 11월14일을 계기로 유엔총회에서의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새로운 결의를 제기하고 추동하기 위한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선언을 추진하는 국제위원회'를 발기한다'고 밝혔다.
 
국제위원회위원으로는 니스대학국제법교수 호베흐 샤흐방, ANSWER(Act Now to Stop War and End Racism) 코오디네이터 브라이언 베커, 국제법전문변호사 마라 베헤이든, 프랑스코리아친선협회사무총장 파트릭 꿴즈망, 노르웨이코리아친선협회 닥 노름 등의 외국인들과 해외동포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코리아반도에 공고한 평화체제를 수립하고 코리아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으로 기여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국제인사들이 중심이 되는 국제기구를 구성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코리아인사와 국제인사들이 참가하는 국제대회를 매년개최할 것'을 향후 계획으로 발표했다.
 
한편 11일부터 열린 '코리아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제대회'에는 코리아, 러시아, 프랑스, 독일, 미국, 노르웨이, 베트남 등에서 모인 약50여명의 인사들이 '△코리아의 분단과 정전문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그 해결의 원칙 △코리아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의 원칙적이고 응당한 역할'에 대해 심층적인 토론을 하고, 14일 '코리아의 전쟁상태의 종식과 평화통일을 위한 유엔선언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다음은 발기문전문이다.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결의를 추진하는 국제위원회> 발기문

 

1947년 11월14일, 이날은 유엔역사상 가장 수치스러운 날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다. 이날 소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엔코리아임시위원단의 감시하에 인구비례에 따른 남북(북남)총선거를 실시하고 여기에서 선출된 대표로써 통일정부를 구성한다’는 미국의 원안이 유엔총회에 통과되었기 때문이다. 이 결정은 일견 공정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코리아인의 주권에 대한 유린이고 1945년 12월 미국·소련·영국의 외상들이 참여한 모스크바3상회의결정에 대한 위반이다. 이 불공정하고 그릇된 유엔총회결의로부터 이후 남코리아만의 단독선거가 진행되고 코리아의 남북(북남)분단이 고착화되며 이후 1950년 6월25일 3년간의 코리아전이 잉태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 유엔결의는 당시까지 진행된 코리아인들이 스스로 남북(북남)간 정치협상에 의하여 합리적이며 민주적으로 통일정부를 구성하려는 모든 구상과 노력을 백지로 만들었으며 이러한 구상과 노력을 지지하기로 한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을 완전히 뒤집은 것이다. 1948년 4월18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북남)제정당사회단체연석회의의 결과가 무시되고 끝내 그해 5월10일 남코리아만의 단독선거가 진행되어 그해 8월15일 남코리아만의 단독정부 ‘대한민국’이 세워지게 되었다. 그러자 북코리아에서도 그해 9월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세워지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렇게 미소냉전의 국제정세하에 코리아반도에서 2개의 정부가 세워지게 된다는 것은 바로 2년뒤에 발발한 코리아전을 예고하고 기정사실화한 것이나 다름이 없다.

 

2차대전의 교훈으로 창립되어 세계 평화와 안보를 근본목적으로 삼는 유엔이, 실제로 코리아전으로 이어진 코리아반도에서의 남북(북남)분단을 야기하는 결정을 내린 것은 유엔역사상 가장 잘못된 판단이고 가장 부끄러운 합의라고 아니할 수 없다. 유엔은 66년전의 과오를 더 늦기 전에 씻기 위하여 당시 유엔결정의 문제점을 인정하고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올바른 결의를 새롭게 내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는 유엔이 다시는 이와 유사한 오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굳은 다짐이 되기도 한다.

 

더구나 1945년 이래 코리아의 분단이 68년간이나 지속되며 코리아인들의 온갖 불행의 근원이 되고 있으며, 1953년에 체결된 북미간의 정전협정은 사실상 백지화되어 현재 코리아반도의 상황은 언제 전쟁이 터질지 모르는 위험천만한 지경에 있다. 누구나 다 인정하듯이, 코리아반도에서 전쟁이 터진다면 그것은 극동을 넘어 세계적 범위에서의 전면전, 곧 제3차세계대전으로 번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차세계대전이후 다시는 인류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전쟁, 특히 세계대전을 막기 위하여 만들어진 유엔은 현 위기상황의 심각성을 올바로 인식하며 시급히 응당한 자기 역할을 다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유엔총회결정 66돌이 되는 오늘 2013년 11월14일을 계기로 유엔총회에서의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새로운 결의를 제기하고 추동하기 위한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선언을 추진하는 국제위원회>를 발기한다.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선언을 추진하는 국제위원회>는 코리아반도에 공고한 평화체제를 수립하고 코리아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으로 기여할 것이고,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국제인사들이 중심이 되는 국제기구를 구성할 것이며,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바라는 코리아인사와 국제인사들이 참가하는 국제대회를 매년 개최할 예정이다.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선언을 추진하는 국제위원회>는 오늘 발기인조직결성 선포를 시작으로 이제 코리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유엔총회결의, 나아가서는 코리아반도에 공고한 평화체제 수립과 코리아의 자주적 평화통일 실현을 위한 정의로운 국제연대 대장정의 첫걸음을 힘차게 내딛는다.

 

2013년 11월 14일

코리아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국제컨퍼런스 참가 국제인사 일동


김재권기자

*기사제휴 : 21세기민족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반일행동, 미버지니아주애난데일소녀상앞에서 논평발표·일인시위 진보노동뉴스 2021.02.24
1370 전교조, 횡령파면전력교장재임용 반대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18
1369 민주노총, 조선소산재은폐심각성 지적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18
1368 금속노조, 하이텔레서비스노동자사망진상규명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19
1367 30대정화조청소노동자, 작업중 유독가스질식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19
1366 오비맥주하청노동자들, 체불임금즉시해결 강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19
1365 두산인프라코어노동자들, 고용보장·단협승계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0
1364 대법원 <지휘·감독받는 시간도 근로시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0
1363 롯데택배노동자들, 간선차 막아세워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0
1362 건설노동자들, 열사병철저감독 강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0
1361 상시적인 업무비정규직, 1년미만 60%초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1
1360 현대·기아차판매노조, 개별교섭조정 신청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1
1359 건설노조, 광주글로벌모터스공장사망사고대책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2
1358 대법원 <일부과도한 주장, 정당한 노조활동>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3
1357 장애인콜택시노동자들, 처우개선파업 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4
1356 <삼성노조와해공작> 항소심판결에 검찰불복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55 학교급식실조리사... 락스로 청소중 의식잃어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54 광주대체보육교사 고용보장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53 경북포항시공무원 <시립예술단원 성추행은폐> 논란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52 제주학교비정규직노동자50% 최근 1년 갑질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51 대전시... 동네의원 1천88곳에 26~28일 진료명령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50 한국GM노사... 창원사업장에서 임단협교섭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9 <명예퇴직은 해고>소송낸 KT명퇴자255명... 1심패소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8 50대노동자... 천공기서 고공농성중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7 르노삼성노조... 민주노총가입추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6 <배달이나 하는 것들?> 포기하지않고 우린 계속 도전할 것>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5 경비원 故최희석씨 보낸지 100일, <지옥>의 일터... 여전해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4 <배송시간 맞추려 기차서 뛰어내리는…> 목숨건 특송노동자눈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3 <송환대기20년> 비전향장기수강담선생 별세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2 포스코건설노동자들, 임금보장파업22일째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1 대학원생노조, 서울대교수·조교들 보조금사기·횡령 고발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40 남양여객노조, 일방적 직장폐쇄 규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39 민주노총, 9월대량해고위기 경고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38 호원지회, 사내집회금지가처분신청 성토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5
1337 케이오노동자들, 부당해고판결이행 강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6
1336 이스타항공조종사노조, 기업해체구조조정철회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6
1335 서울강남시설환경노조, 평균생활임금보장파업 예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7
1334 대우버스노조, 전직원85%정리해고 규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7
1333 현대중공업하청노동자들, 원청직접고용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8
1332 서울실버병원, 코로나19확진 따른 50명격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8
1331 내년 건강보험료 2.89% 인상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8
1330 아베 총리직 사임 ... 마지막까지 <평화헌법>개정 강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8
1329 이탈리아3대노총, 해고금지보장 ... 9.18총파업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29
1328 조선업도시 거제, 코로나2단계방역조치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30
1327 플랫폼배달노동자 92%, 산재보험미가입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30
1326 소녀상농성1700일 맞아 동시다발 일인시위 진행돼 ... <계속전진한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30
1325 조선업하청노조들, 삼성중공업폭발사고 진상규명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31
1324 고용부, 추석연휴앞두고 집중점검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8.31
1323 부산지법 <대리운전기사는 노동자> ... 노동3권 보장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01
1322 여수산단플랜트건설노사... 임금협상합의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01
1321 현대트랜시스협력사해고자 ... 복직요구선전전 진행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