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은 26일 오후4시30분 서울역광장에서 ‘노동탄압 분쇄! 민주주의파괴 중단! 민영화-연금개악 저지! 공공부문-비정규직 노동기본권 쟁취’ 민주노총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1만여명의 노동자들이 모인 가운데 개최했다.

 

사진02.jpg

 

 

사진03.JPG

 

 

민주노총 신승철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오늘 공무원노조, 화물연대 등 여러곳에서 힘 있는 투쟁을 결의하는 집회가 있었는데 그 자리에서 공통점은 현정부와 그들을 비호하는 세력들이 상식과 예의가 없는 자들이 정당한 노동자들을 노동자가 아니라 한다는 것”이라면서 “국민의 대다수가 그들이 이야기한 보편적 복지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재벌의 아가리에 갖다 바치는 정권을 향해서 힘 있게 투쟁을 결의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오늘을 시작으로 전국노동자대회까지 올하반기 전체 민주노총이 앞장서서 투쟁하겠다”면서 “민주노총위원장으로서 하반기투쟁을 여러분과 힘있게 열어 제끼겠다. 그 투쟁의 책임은 모두 제가 지겠다. 우리들의 분노와 요구를 담아서 오늘을 시작으로 전체 노동자들을 단결해 이 세상을 바꿔보자”고 호소했다.

 

금속노조 전규석위원장은 투쟁사를 통해 “며칠전 사석에서, 술자리에서 했던 약속도 지켜야 한다고 법원의 판결이 나왔지만, 박근혜정부는 대선공약을 제멋대로 파괴했다”면서 “박근혜정부가 공무원노조, 전교조를 법외노조로 만들었는데 다시 금속노조에 노조파괴공세가 밀려올 것으로 예상된다. 금속노조도 이 투쟁 힘차게 진행시켜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박근혜정부가 노동권을 인정하지 않고, 노동자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더이상 각개격파 당하지 말고 총연맹과 함께 총노동전선을 형성해서 강고하게 투쟁할 때 바꿔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지부 박준우지부장은 “우리나라가 OECD국가중 노인빈곤율 1위, 노인자살율 1위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면서 “박근혜정부는 기초노령연금 20만원을 약속했지만 헌신짝처럼 버렸다. 국민연금가입기간이 길수록 기초연금이 손해보는 기초연금제도가 입법예고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함께 끝까지 투쟁해서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반드시 지켜내자”고 호소했다.

 

공공운수노조연맹 이상무위원장 “철도, 가스, 전기, 상수도, 의료 공항 등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것은 민영화하지 않겠다고, 하더라도 국민을 존중하며 의견을 들어서 하겠다고 누가 누구에게 한 약속인가”라면서 “박대통령은 전체국민에게 대통령이 될 욕심으로 마음에도 없는 거짓약속을 했단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전체 국민들에게 사기를 친 것인지, 대통령보다 더 힘있는자로 인해 이행을 못하는 것인지, 아니면 자질도 능력도 없었던 것인지?”라고 묻고 “국민을 위해서 일할 수 없는, 자질 없는 저급한 대통려이라면 우리가 그 직을  빼앗아야 한다. ‘대통령자격 없음’을 선포하고 하반기 노동자투쟁으로 노동자들을 위한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진04.JPG

 

 

공무원노조 김중남위원장은 “지금 이나라에는 80년5.18광주에서 오월영령들이 목숨으로 피로서 지킨 민주주의, 87년노동자대투쟁을 통해 우리가 만들어놓은 노동기본권이 깡그리 무너지고 있다”면서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세력에 맞서 투쟁할 수밖에 없다”고 단호히 말했다.

 

이어 “전교조와 공무원노조를 해고자가 조합원이라는 이유로 법외노조로 만들었는데 이제 전교조와 공무원노조, 특수고용노동자, 비정규직노동자가 이땅에 민주주의를 만드는 대투쟁에 나서야 한다”면서 “파업을 불사하는 모든투쟁을 민주노총과 함께 할 것이며, 전교조와 함께 싸워 투쟁하면서 이 나라의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민중들의 삶을 지켜가는 최전선에서 투쟁하겠다”고 결연한 의지를 보였다.

 

사진05.JPG

 

 

전교조 김정훈위원장은 “이명박정권이 그렇게 전교조를 무너뜨리고 싶어했고 박근혜대통령은 한나라당대표시절부터 전교조를 한마리 회충에 비교하며 전교조가 온사회를 붉게 물들여놓았다고 말했다”면서 “온사회를 붉게 물든 것이 노동자민중의 피와 땀이 섞인 색깔이라면, 우리 참교육의 색깔이 그것이라면 맞다고 당당히 선언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0.26사건이 일어났던 오늘을 전교조선생님들은 5.16군사쿠데타에 이어 유신쿠데타가 최종적으로 결정적으로 마감된 날이라고 가르칠 것”이라면서 “박근혜정부가 노조아님을 통보한 10월24일은 제2의 유신독재를 선포한 날이며, 오늘은 제2의유신독재의 종말을 고하기 위한 첫출발”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밖에 공공운수노조 국립오페라지부의 노래공연과 ‘몸짓선언’의 몸짓공연이 펼쳐졌다.

 

사진06.JPG

 

 

국립오페라지부는 “며칠이 지나면 거리에서 싸운지 4년10개월이 된다”면서 “문화체육부관광부 유진룡장관이 2월인사청문회때 국립오페라사태 해결했다고 분명히 약속을 했지만 지금까지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았고, 면담도 단한번 한적이 없다”고 비판하면서 “박근혜정부가 1년도 안됐는데 이렇게 약속을 안지키면 4년 남은 정부를 뭘 믿고 보겠는가, 하루빨리 약속을 지켜라”라고 촉구했다.

 

사진01.JPG

 

 

사진09.jpg

 

참가자들은 투쟁선언문을 통해 “박근혜정권에게 노동기본권, 민생, 민주주의는 없다”면서 “우리는 민주노조 사수와 노동기본권 쟁취를 위한 결사투쟁, 국민을 기만하는 박근혜정부에 맞선 결사투쟁, 민주주의파괴에 맞선 결사투쟁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역사발전의 주역이자, 민주주 의의 선봉대인 자랑스런 노동자”라면서 “민주노총의 이름으로 박근혜정부에 맞선 결사항전”을 선언했다.

 

사진10.JPG

 

 

 

사진15.jpg

 

 

 

참가자들은 ‘공약파기’, ‘노동탄압’이라 씌여진 박스를 박살내며 박근혜가 대통령이아님을 통보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민주노총결의대회에 앞서 공무원노조는 오후2시 종로 영풍문고앞에서 ‘노동조건개악저지를 위한 조합원총력결의대회를, 화물연대는 오후2시 여의도 산업은행앞에서 ’화물노동자생존권쟁취 총력투쟁결의대회를, 금속노조는 오후2시 삼성전자서비스영등포센터앞에서 ‘폭력사태 처벌! 불법고용 근절! 삼성전자서비스투쟁 승리!’ 결의대회를, 철도노조와 KTX민영화반대범국민대책위는 오후3시 서울역광장에서 ‘철도민영화반대’3차범국민대회를 열었다.

 

결의대회가 끝난후 참가자들은 오후7시 서울역광장에서 열리는 ‘국정원선거개입, 공약파기, 노동탄압 규탄’ 범국민촛불집회에 참여했다.

 

사진08.JPG

 

 

사진07.JPG

 

 

 

 

김동관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반일행동, 미버지니아주애난데일소녀상앞에서 논평발표·일인시위 진보노동뉴스 2021.02.24
6720 철도노조 “KTX민영화와 철도자산회수 중단 안하면 총파업”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14
6719 연대란 서로를 아는데서부터, 생명평화대행진 7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6718 “죽어서 조상님 뵐 면목이 없습니더” 생명평화대행진 8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6717 “일상생활만 가능하게 해주세요” 생명평화대행진 9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6716 “우리 스스로 우리문제를 풀자” 생명평화대행진 10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6715 “2012생명평화행진과 함께 하는 민회(民會)에 모십니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6714 민주노총 김영훈위원장 “가장 무거운 정치적 책임질 것”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13 민주노총, ‘임원 직선제 유예안에 대한 7문7답’ 발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12 “오늘 처음으로 현지사람들이 별로 없었어. 마음 아프데” 생명평화대행진 11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11 “세상은 할머니들이 다 꽈드라!” 생명평화대행진 12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10 각계 77인 “우리가 해고자다! 사회적 살인 끝장내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9 4만7000공무원노동자 “바꿔야 바뀐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8 철도노조 27일 “KTX민영화 중단” 총파업 예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7 “2000년대 이후 좌경용공논리 안 통해” 생명평화대행진 13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6 청년 10명중 9명 “재벌대기업 개혁이 필요하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5 [창간인터뷰] 금속노조 노동연구원 공계진원장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4 [기획] 공공부문에서의 민주노조끼리 복수노조갈등 2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3 경북대병원 청소노동자, 쟁의행위찬반투표 찬성100%로 가결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6702 “우리가 간곳에서 다 왔잖아, 이렇게 연대해야 돼” 생명평화대행진 14-16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8
6701 2천명 모인 ‘비정규직10만촛불행진’ 경찰에 막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8
6700 11월14일 유럽노동자들 연대해 공동총파업 벌인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9
6699 촘스키 등 국내외 지식인들 “쌍용차노동자지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9
6698 노조파괴공작, 창조컨설팅뿐만이 아니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9
6697 삼성반도체피해자, 문재인캠프와 면담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9
6696 복직3개월만에 다시 징계당한 전북KT노동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95 민주노총, 30일 임시대대 열고 직선제 실시여부 결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94 생명평화대행진, 29일 평택서 서울까지 수도권행진 출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93 ‘내가 원하는 세상, 내가 믿는 상식’ 생명평화대행진 17~18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92 MBC, PD수첩에 대체작가 투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91 쌍용차사태악화, 국가기관이 일조했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90 민주노총, 직선제 3년유예 결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89 문재인·심상정, 쌍용차사태 해결촉구 한목소리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6688 공공부문노동자 총력투쟁결의대회 열어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1
6687 현대차, 철탑농성 외면하고 사내하청신규채용 밀어붙여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1
6686 이채필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는 암세포”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1
6685 “‘함께 살자’ 외치는 우리는 사회와 역사의 주역” 생명평화대행진 19~20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1
6684 [기획] 공공부문에서의 민주노조끼리 복수노조갈등 3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1
6683 남중FTA체결반대 농민들 “대선후보 입장 밝혀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1
6682 양대노총 공공부문노동자 2만5000명 ‘총궐기’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1
6681 공무원노조 “공무원해직자복지특별법 제정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1
6680 10만유권자 “선거일 유급공휴일 지정, 투표시간 9시까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1
6679 대법원, 현대미포조선에 “부당해고기간 가상보상금 지급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1
6678 ‘노동자대통령후보’는 기륭전자 김소연전분회장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2
6677 “못가겠어 ... 발걸음이 안떨어지네” 생명평화대행진 21~22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2
6676 환노위, 12일 MBC파업청문회 열기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3
6675 KBS 1, 2노조 함께 낙하산·부적격 사장 저지 위해 투쟁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3
6674 철탑농성중인 최병승 “쌍용차 3천인동조단식 참여하겠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3
6673 삼성반도체피해자 다룬 영화 '또 하나의 가족' 만들어진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3
6672 문재인캠프 “비정규직 ‘최병승법’ 입법하겠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4
6671 현대차, 구사대 조직해 노동자 농성 막아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