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노인장기요양보험법개정 공동대책위원회 등은 20일 공동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보건복지부가 장기요양추가수가인상시도를 한데 대해 <이 시국에 서민 부담 가중시키는 박근혜 복지부>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성명은 <1116일 열린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에서 보건복지부는 2017년 장기요양수가 추가 인상안을 제출했다>면서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촉탁의 제도 개선에 따른 추가 수가 인상안은 가입자 부담을 2배 가까이 늘이면서 요양시설 등 공급자의 이해관계를 일방적으로 반영한 것>이라며 문제점을 고발했다.

 

성명은 <결국 국민들은 매월 196만원에 더해 최소 70만원에서 최대 170만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명은 끝으로 <<의료서비스 관리비용>이 정말 필요하다면 그 구체적 내역을 정확하게 추계해서 제출한 후에 논의해도 늦지 않는다><부당한 장기요양 추가 인상안 강행을 당장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아래는 성명 전문이다.

 

이 시국에 서민 부담 가중시키는 박근혜 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장기요양 추가 수가 인상 시도를 당장 철회하라 -

 

11월 16일 열린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에서 보건복지부는 2017년 장기요양수가 추가 인상안을 제출했다. 2017년 장기요양 수가는 지난 7월 7일 개최된 전차 회의에서 평균 3.86% 인상으로 결정된 바 있다하지만 보건복지부는 2017년 수가 인상을 결정한 후 4개월 만에 열린 회의에서 사전 안건 공유조차 제대로 하지 않고 기습적으로 추가 수가 인상안을 상정했다.

 

추가 수가 인상 요인은 촉탁의 제도개선에 따른 수가 조정 및 필요수 가산 폐지에 따른 수가 조정 등 2가지이다.필요수 가산 폐지에 다른 수가 조정은 기존 수가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조리원 등 장기요양 시설 운영에 필요한 인력 배치에 대해 가산금으로 지급하던 것을 기본수가에 포함시키는 것이다즉 지출되는 항목만 변경되는 것이고 장기요양보험 총지출 측면에서는 추가적인 지출이 발생하지 않으며 가입자의 부담 역시 그대로다.

 

문제는 촉탁의 제도 개선에 따른 추가 수가 인상이다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촉탁의 제도 개선에 따른 추가 수가 인상안은 가입자 부담을 2배 가까이 늘이면서 요양시설 등 공급자의 이해관계를 일방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촉탁의 제도란 요양원 등 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한 달에 2회까지 의사가 직접 방문해 진료하는 제도다시설에 입소할 정도면 대부분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직접 방문하는 촉탁의 제도를 장기요양제도에 도입한 것이다.

 

2016년 9월 이전까지 촉탁의 진료 비용(70인 표준모형 기준 월 196만원)은 장기요양 수가에 포함되어 시설에 직접 지급되었고시설장이 촉탁의에게 진료 비용을 지급하는 방식이었다이러한 기존 촉탁의 제도에 대해 낮은 제도 활용과 부실한 진료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이에 장기요양위원회 논의를 거쳐 촉탁의 활동비 지급을 공단이 의사에게 직접 지급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개선하였다시설에 지급하던 진료 비용을 의사에게 직접 지급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보건복지부는 갑자기 촉탁의 제도 운영에 따른 시설의 진찰환경 조성 등 의료서비스 관리비용의 보전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어 추가 수가 인상안을 제시했다보건복지부가 제시한 안은 총3개 안으로 1안 70만원, 2안 131만원, 3안 170만원을 시설의 관리비용 보전 명목으로 수가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가 이 관리비용 산출 근거로 제시한 것은 기존 시설에 지급하던 촉탁의 비용 중 실제 촉탁의에게 지급된 비용을 제외한 내역이다즉 촉탁의 비용에 사용하라고 수가에 포함시켜 지급했던 196만원 중 시설이 실제로 지급한 돈이 전체기관 평균 65만원, 10~29인 기관 평균 26만원이라는 조사 결과에 따라 각각 131만원(2, 196만원-65만원), 170만원(3, 196만원-26만원)을 제시한 것이다.

 

촉탁의 제도 운영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촉탁의 비용으로 사용하라고 지급한 돈의 67%(131만원),많게는 87%(170만원)가 부당하게 사용됐거나제도의 취지와 상관없이 사용되었다는 점이다그런데보건복지부는촉탁의 활동비 지급방식 개선에 따라 70인 표준모형의 촉탁의 인건비를 전액 삭감해야’(보건복지부 안건 설명 자료 중함에도 불구하고 이 돈을 갑자기 제도 운영에 필요한 관리비용으로 둔갑시켜 추가 수가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

 

결국 국민들은 매월 196만원에 더해 최소 70만원에서 최대 170만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국민들이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돈은 연간 132억원에서 321억원에 달한다누군가 부당하게 얻거나혹은 제도의 취지와 상관없이 낭비되는 돈 역시 연간 132억원에서 321억원에 달한다국민들 입장에서 이는 제도 개선이 아니라 개악이다.

 

6차 장기요양위원회는 결국 합의를 이루지 못 하고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실무위원회 회의로 안건을 위임했다. 1차례 진행된 실무위원회에서도 역시 합의를 이루지 못 했고내일(21) 2차 실무위원회를 진행키로 했다그런데 1차 실무위원회 이후 보건복지부는 안건 설명이라는 명분으로 위원들에게 개별적으로 연락을 취해 적극적 설득 작업에 나서기도 했다.

 

복지부는 지난 몇 년간 난립한 기관정비와 서비스질 개선 요구는 방치한 채 주먹구구식 수가인상만 처리해왔다복지 확대에 대해서는 돈 없어서 어렵다는 답변이 먼저 돌아왔다그런 복지부가 비상식적인 장기요양 수가 인상에 관대함을 넘어 이렇게 적극적인 이유를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같은 일이 꼭 덩치 큰 이권을 둘러싸고만 일어나는 게 아니다.

 

보건복지부는 부당한 장기요양 추가 인상안 강행을 당장 철회하라촉탁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의료서비스 관리비용이 정말 필요하다면 그 구체적 내역을 정확하게 추계해서 제출한 후에 논의해도 늦지 않는다아니 오히려 국민들 돈을 관리하는 공무원이 해야 할 일은 그런 꼼꼼함이다.

 

2016. 11. 20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노인장기요양보험법개정 공동대책위원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반일행동, 미버지니아주애난데일소녀상앞에서 논평발표·일인시위 진보노동뉴스 2021.02.24
3770 전국비정규직공무원노조 출범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3
3769 <파인텍노조승리> 민주노총투쟁문화제 개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3
3768 세스코노조 <근로조건 개악·노조파괴>사례 규탄·폭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2
3767 한국GM노조 <1월2일부터 전면총파업!> ... 임금협상본교섭 결렬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2
3766 전북대, 청소노동자 전원정규직전환 결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2
3765 양대노총 <ILO핵심협약 비준촉구·노조법 전면개정>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2
3764 SK엔카노조 〈체불임금지급·매각철회!〉 ... 〈SK, 노동자들 뒤통수 쳐〉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2
3763 금속노조, <포스코 부당노동행위·무노조정책> 즉각폐기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1
3762 민주노총, 민주당 단식농성 ... <구속자석방·법개악중단!>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0
3761 박진수YTN지부장 무기한단식농성 전개 ... <공정방송·임단협쟁취!>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0
3760 현대차노사, 2017년임금·단체협약교섭 잠정합의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20
3759 KBS노조 파업100일째 ... <비리이사해임 승리단초>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12
3758 YTN비대위 출범 ... <최남수와 악폐세력 퇴출시킬 것>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12
3757 옥시RB노조 <정리해고 철회!> ... 1인시위·법정투쟁 전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12
3756 민주노총 <5대우선요구>입법 촉구 ... 국회앞 결의대회 개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11
3755 <서창석서울대병원장 사퇴!> ... 서울대병원분회 파업전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11
3754 민주노총 9기임원결선투표 <김명환후보><이호동후보> 확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11
3753 민주노총제9기임원선거, 김명환후보 1위 ... 15일 결선투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2.09
3752 서울지하철9호선 1차경고파업 예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1.28
3751 민주노총 〈5대우선요구 실현〉위한 국회앞농성 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1.24
3750 서울지하철 무기계약직노동자 자살 ... <제대로된 정규직전환 이뤄져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1.22
3749 특수고용노동자들 <노동기본권보장> 국회앞농성 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1.21
3748 <정규직전환제외된 14만공공부문노동자 대책 시급>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1.02
3747 <비정규직문제는 적폐중의 적폐> ... 10.28전국노동자대회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0.29
3746 9만학교비정규직노동자, 2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0.15
3745 민주노총 <노동적폐청산 위한 국정감사>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0.14
3744 민중민주당신문民40호 <전쟁광 트럼프규탄! 북침전쟁연습 중단!>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0.11
3743 <최저임금인상무력화 저지!> 학비노동자공동단식투쟁 9일차 ... 4명 실신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0.06
3742 교육공무직본부 <최저임금인상무력화 저지> 집단단식농성 5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7.10.02
3741 민주노총, 노조할권리 등 5대우선요구 선포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30
3740 KTX승무원, 11년만에 파업 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30
3739 KT민주화연대 <노동탄압주범 황창규회장 즉각기소·엄중처벌!>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7
3738 리용호북외무상 <미국 선전포고 ... 누가 오래가는지 두고 보면 알것>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6
3737 하이트맥주노조·진로노조 1500명 총파업 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6
3736 노동단신 〈9월25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6
3735 고용노동부, <쉬운해고> 양대지침 폐기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6
3734 노동단신 〈9월24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5
3733 노동단신 〈9월23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5
3732 노동단신 〈9월22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5
3731 공공운수노조 <비정규직·외주화가 모든 문제의 근원>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3
3730 민주노총 <파리바게뜨는 5378명 전원 직접고용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2
3729 노동단신 〈9월21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2
3728 노동단신 〈9월20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1
3727 노동단신 〈9월19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0
3726 노동단신 〈9월18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20
3725 보건의료노조 76개사업장 쟁의행위 가결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19
3724 민주노총, 9기임원 직접선거 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19
3723 행정법원 <통상적 업무스트레스초과는 요양해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19
3722 서울9호선노조 <노동조건개선·시민안전을 위한 파업> 예고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19
3721 민주노총, 노동법 전면개정·ILO 핵심협약비준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