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민주법률가협회수석부대표 홀렁 베이의 대중강연회가 7월7일 오후3시 충남아산에 위치한 온양관광호텔에서 코리아연대(자주통일과민주주의를위한코리아연대)주최로 개최됐다.

 

사진5.JPG

  

사진1.JPG

 

강연회에는 코리아연대회원들을 비롯해 70여명이 참석했다.

 

사진2.JPG

 

사회자로 나선 코리아연대 이상준공동대표가 홀렁 베이의 약력과 최근 방남활동을 보고하면서 행사가 시작했다.

 

홀렁 베이는 1937년부터 변호사업무를 시작해 70여년가까이 변호사로 활동했고, 프랑스변호사협회원로로 유엔산하 국제민주법률가협회수석부대표와 ‘권리연대’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권리연대는 민중의 기본권을 스스로 쟁취하자는 취지로 결성된 단체이고, 국제민주법률가협회는 1946년 결성돼 현재 90여개국가의 단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코리아연대의 초청으로 남코리아에 방문한 홀렁 베이는 4일 오후7시 6.15학술위원회와의 간담회부터 5일 오마이뉴스인터뷰, 범민련남측본부금요행동 참가, 민주노총비대위간담회, 경향신문인터뷰, 민중의소리주최 오종렬한국진보연대총회의장(반전평화국민행동) 대담, 6일 4.9통일평화재단주최 서대문형무소역사관방문간담회 , 민변 통일위원회·미군문제연구위원 간담회, 쌍용차지부간담회,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대한문미사 참가, 서울시청광장에서 열린 2차국정원규탄촛불문화제 참가, 7일오전 용산화재참사현장(남일당) 방문까지 왕성한 활동을 전개했다.  

홀렁 베이 소개가 끝난 뒤 코리아연대 이천재고문의 환영사가 이어졌다.

 

사진3.JPG

 

이천재고문은 홀렁 베이의 왕성한 활동에 경의를 표하고 지성의 양심에 대해 언급한 후 “흔치 않은 기회, 서양의 대 석학을 모시고 이야기를 듣는 것인데 설사 우리 현실에 맞는 말씀이 아니더라도 노법률가의 학문적 깊이와 강조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진4.JPG

 

베이는 "남코리아에 와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언급하면서 특히 젊은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돼 반갑다고 전했다.


그는 일방적인 강연이 아니라 질의응답으로 내용을 채워가자고 했고 그것이 상호소통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청중한명이 인권문제에 대한 질문을 했다.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자유를 강조하고 사회주의사회에서는 평등을 강조하는데 인권의 가치에 대한 질의였다.

 

이 질문에 대해 베이는 인권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서 각각 존재하는 게 아니라며 철학적 개념으로 설명했다.


그는 또 인권보다는 권리라고 하는 게 정확하다는 견해도 밝히면서 도덕과 법의 차이, 권리는 곧 투쟁, 법제도가 민중의 무기가 될 수 있음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1945년 인권선언의 중요성을 비롯해 시민권과 정치권, 평화권, 발전권을 설명했다.

 

사진6.JPG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민중이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권리다. 민중만이 외세개입 없이 민중들의 삶을 개척할 수 있다. 근본적 권한은 1966년 협약1조에 나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유심히 봐야 하는 것이 유엔헌장”이라며 유엔헌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유엔헌장에서 두가지 중요한 개념으로 ‘민중 스스로의 권한’과 ‘평화적 해결’을 언급하면서 유엔안보리의 성격을 설명하고 유엔이 헌장을 잘 준수하도록 할 과제는 여기 있는 사람들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공주민주단체협의회 정선원대표는 코리아반도의 심각한 핵전쟁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평화와 통일문제를 어떻게 보는지 질문했다.

 

사진8.jpg

 

질문에 대해 베이는 코리아전 당시의 유엔과 상임이사국의 결정을 회고하며 유엔헌장을 위배한 결정을 내렸다고 규탄했다.

 

이어 유엔헌장을 위배한 결정은 코리아전이후로도, 미-이라크전, 유엔군의 리비아전개입,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등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코리아문제는 코리아민족끼리 외세의 개입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유엔헌장의 견지에서 보면 세계경찰은 아예 없다. 민중들이 힘을 합쳐서 평화를 유지하는 것만이 있다. 그래서 유엔헌장이 인류역사상 최고의 유산이라고 주장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구현돼야 한다는 것이고, 코리아의 정전협정도 반드시 실현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진 질문은 국가보안법폐지문제로 국제민주법률가협회에서 이 법을 폐지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베이는 답변하기 까다롭다고 말하면서 “모든 민중들은 지켜져야 할 권리에 대해 연대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다음 질문은 베이가 전태일열사의 동생을 만난 일화를 언급하며 남코리아의 노동권과 평등권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

 

베이는 이에 대해 “법률가로서 유엔협약을 통해 말하겠다. 유엔협약 6조를 보면 첫번째 노동자들의 권리를 인정한다는 말이다. 모든 사람들에게는 자신의 삶을 유지할 만큼 일할 권리가 있다는 것, 일자리를 선택할 권리, 권리를 유지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는 권리가 있다. 7조는 임금을 균형 있게 받을 권리가 있다. 같은 일을 하는 노동자는 동일임금을 받아야 한다. 산업재해도 보호받아야 한다. 이 문서에 남코리아가 서명했는지 모르겠다. 중요한 문서다”라며 “다시 말해 보편적으로 평등하게 부여한 권리가 벽장속 한쪽에 치우쳐 있다”며 노동권이 외면받는 현실을 꼬집었다.

 

다음으로 법의 구현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청중중에서 “유엔헌장이 굉장히 좋은 법 같다. 코리아에는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는 속담이 있다. 좋은 법이 실제 구현되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고 물었다.

 

이에 대해 베이는 미디어가 세계금융권력의 손에 놓여 있고, 그 조종으로 사람들을 바보로 만들고 무관심하게 만든다는 것이라고 미디어언론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엔은 뭘 하느냐고 묻기 전에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물어야 한다. 우리가 주체이기 때문에 유엔을 강제하기 위한 요구를 해야 한다. 코리아반도의 평화실현의 주체 역시 코리아민중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코리아충남연대 지영철대표가 질문했다.

 

사진10.JPG

 

지대표는 “어려운 시기를 어떻게 극복하셨는지를 법률가로서가 아닌 인생의 선배로서 답변해 달라”고 했다.

 

베이는 “사람이 모든 것을 할 수 없고 가능성과 원하는 것 사이에서 계속 충돌하게 된다. 가능성이 없다고 여기며 허송세월하는 게 문제다.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은 개개인의 몫이다”며 “젊은 여러분들이 많은 꿈과 희망을 가지고 있을 것인데 계속 나아가야 한다”고 전했다.

 

이날 오후3시에 시작한 강연회는 6시가 넘어서 마무리 됐다.

 

참가자들은 베이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인근 식당에서 함께 만찬을 하며 못다한 얘기를 나눴다.

 

베이와 이고문은 식사가 끝난후 코리아문제의 국제여론화, 국제연대, 국가보안법의 문제 등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눴다.

 

사진11.JPG

 

이고문은 “코리아반도의 모든 문제는 코리아문제이면서 세계평화의 문제”라며 “코리아반도전체의 비핵화냐 아니면 북만의 비핵화냐는 것이 현재의 초점인데 국제여론이 코리아반도전체의 비핵화와 민족자주적 문제해결에 동조해준다면 좋겠다”고 발언했다.

 

베이는 이에 대해 “국제여론화를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코리아문제를 국제여론화 시키려면 코리아인들도 국제여론의 관심을 많이 갖고 국제회의에 참석해 발언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전세계 민중들이 같은 이해관계를 가지고 투쟁하고 있다는 것을 서로 확인하고 느끼고 함께 싸워나가는 과정자체가 코리아문제가 국제여론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가보안법에 대해 이고문은 “이 법으로 7번 유죄판결을 받았는데 북을 따르려는 의사는 요만큼도 없었다. 다만, 민족문제는 자주적이고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확신이 있을 뿐”이라며 “유엔헌장에도 반하는 법이고, 자연법상에도 반하는 법이다. 최악의 악법이며 인류문명사회의 문명을 모독하는 악법”이라고 단호히 말했다.

 

베이는 “유엔헌장뿐 아니라 유엔인권선언에도 위배된다”며 “국가보안법을 포함해 코리아문제들의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사진12.JPG

 

베이는 7일 대중강연회를 끝으로 모든 방남일정을 마치고 8일 프랑스로 돌아갔다.

 

21세기민족일보·진보노동뉴스·21세기대학뉴스 공동취재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반일행동, 미버지니아주애난데일소녀상앞에서 논평발표·일인시위 진보노동뉴스 2021.02.24
5820 경남, 추석 전 <임금체불액 472억원>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9 인천자동차부품공장에 화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8 현대차노조 .. 임금동결잠정합의안 찬반투표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7 경총 .. 금속노조에 패소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6 특고·프리랜서 <고용안전망확충>간담회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5 콜센터노조 <쉴권리보장촉구>기자회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4 한국GM노조 .. 쟁의권확보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3 울산시내버스노사 ... 임금동결합의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2 민주노총 <포천시 청소용역직영화촉구>일인시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1 전북교공노조 <정규직차별해소촉구>무기한농성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10 민주노총 .. 노동법개악 철회요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9 마트산업노조 <아직도 택배상자에 손잡이 없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8 CCTV관제센터요원의 <정규직전환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7 학비노조 .. 노동인권 보장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6 이스타항공·조종사노조 <고용유지촉구>합동기자회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5 전북민중행동 <경찰공권력남용>비판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4 고용부 .. 한국GM 직고용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3 군산발전소 고공농성조합원 ... 구속영장기각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2 사천지에이산업노조 ... 불법파견중단하고 노동자직고용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1 현대차노사 ... 11년만에 기본급동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800 수리작업하던 50대공업사<사장> 버스에 깔려 숨져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9 대형마트노동자 <의무휴업일> 추석당일 변경반대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8 노동법률단체 <중대재해기업처벌법>제정촉구 기자회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7 <전태일3법> ... 국회상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6 지각면하려 계단뛰다 숨진 간호조무사<산재인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5 화물연대광주지부 <수억대운송료체불>물류업체 고발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4 원청사업장서 집회연 용역업체근로자무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3 이스타항공<법정관리신청> 노조가 검토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2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 <분류작업전면거부 철회>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1 전남대병원노사 임단협타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90 방과후강사 ... <합법>노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9 수영지도강사지회 <비정규직날벼락>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8 현대트랜시스비정규직해고자 복직촉구… 현수막철거규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7 르노삼성판매부진 <조업중단통보>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6 추석연장영업 .. 중단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5 악사손해보험 ... 밀실매각 멈추고 고용승계 약속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4 마포노점상 .. 인형아바타집회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3 정부·택배업계 .. 추석 택배인력 추가투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2 학교영양사를 <관리감독자로 지정반대>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1 택배노조 <택배노동자 7명의죽음 추석택배분류 거부>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80 미1기갑여단전투단, 가을에 남코리아순환배치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79 미국무부 <중거리미사일배치 협의중>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78 디즈니, 2만8000명해고자들 시간제전환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77 아파트외벽 매달린 50대노동자 <원청, 임금체불 해결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76 요양서비스노조, 독감예방무료지원 앞세워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30
5775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수 있는 사회를 위해〉 ... 반아베반일공동행동농성1733일·연좌시위96일째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29
5774 노동자62% 유급병가 없어 ... OECD에서 미국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29
5773 부산지하철노조, 노동자이사제시행 강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28
5772 마트노동자들, 상자손잡이구멍제작 제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28
5771 민주노총 등, 중대재해기업처벌입법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