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GTT(튀니지노동조합연맹) 


프랑스식민지시절 프랑스노총 CGT(노동총연맹)의 영향을 받아 1946년 창립된 UGTT는 온건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다. 현재 조합원수는 51만7000명이며 ITUC(국제노동조합총연맹)에 소속되어 있다. 


1956년부터 1970년대까지 UGTT지도부는 집권여당인 네오데스투어(Neo Destour)당과 동맹관계를 유지했다. 부르기바정부가 추진한 1958년 교육·보건정책, 1964년 산업화정책은 UGTT의 1955년강령에서 나왔고 UGTT사무총장 출신의 장관들이 입안한 것이었다. 


UGTT는 벤 알리 대통령의 집권초기 정치개혁을 지지했다. 벤 알리정부에 참여하면서 노조내부에 위기가 닥친 적도 있지만 튀니지혁명직전 지도부가 반정부적 입장으로 바뀌면서 UGTT는 혁명과정에서 명예를 되찾을 수 있었다. 


2013년 2월6일 야당지도자 초크리 벨라이드의 암살직후 UGTT는 암살에 저항하는 총파업을 조직했다. 특히 우편·통신·보건·교육 부문에서 활발한 투쟁을 벌이고 있다.


혁명에서 UGTT의 역할


조합원들 사이에서 벤 알리 정권에 대한 불만이 쌓이고 젊은이들의 정치적 자유와 일자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정권에 우호적이던 UGTT지도부입장이 바뀐다. 이후 UGTT를 중심으로 단결한 노동운동세력은 민중봉기 과정에서 큰 영향을 끼친다. 


2011년 1월14일 벤 알리 정권붕괴후 임시정부구성당시 UGTT는 민중의 대표자로서 참여했다. 애초 UGTT는 집권여당인 RCD(민주헌법회의)에서 탈당한 모하메드 간노우치가 이끄는 임시정부에 참여했으나 이후 민중들의 저항이 계속되자 임시정부에서 나온 뒤 민주헌법회의해체와 장관퇴진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벤 알리 우호세력은 모든 야당세력과 협력하겠다고 밝히고 임시내각을 구성했으나, UGTT는 임시내각에 파견했던 노동자대표자를 사퇴시키고 UGTT소속 국회의원들 또한 사퇴했다. 이어 구여당세력의 척결을 요구하는 시위와 함께 1월 26일~28일 튀니지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인 스팍스에서 총파업을 벌였다.


혁명과정에서 대중투쟁의 단일집중행동을 이끌 진보세력통합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노조가 전선의 구심이 되어야 한다며 우선 노조의 조직적지지 결정을 기다리자는 의견과 일단 진보세력이 결집하고 차후 노조와의 관계를 발전시키자는 의견이 있었고 후자가 더 많은 지지를 얻었다. 그 결과로 2012년 8월 ‘혁명대의실현을위한인민전선(인민전선)'이 발족했다. 인민전선은 같은해 9월 전국대회를 열어 강령을 채택하고 노동자당의 함마미를 대표로 선출했다. 


혁명, 그리고 


폭압적인 독재정치와 신자유주의에 맞선 민중들의 분노는 UGTT의 계급투쟁과 결합해 노동자, 청년학생, 여성의 광범위한 투쟁으로 분출됐으나 정치적 대안을 조직하는데 실패하며 절반의 성공에 그쳤다. 튀니지혁명의 주요원인중 하나였던 경제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상태다. 2012년 튀니지의 총실업률은 19%, 청년층의 실업률은 42%에 달했다. 친제국주의독재 벤 알리 정권은 친자본주의·온건이슬람주의 엔나흐다당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제헌의회가 구성된 지 2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새헌법이 마련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UGTT는 △비정규직노동조건개선을 위한 법안 마련 △생활물가인상에 기초한 실질임금인상 △노동시간 등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등 노동자권리증진에 따른 투쟁을 전개해 나갈 전망이다. 5월1일 메이데이를 맞아 이런 운동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총파업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노동자·진보세력이 어떤 정치·경제·사회적 대안을 제시하는가가 중요하다.


‘아랍의 봄’의 신호탄이었던 튀니지혁명 발발 2년이 지난 시점, 정당과 노조의 힘있는 단결을 통한 혁명의 진전이 필요한 때다.


성우종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반일행동, 미버지니아주애난데일소녀상앞에서 논평발표·일인시위 진보노동뉴스 2021.02.24
920 민주노총, 이스타항공정리해고철회 동조단식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23
919 보건의료노조, 공공의료·보건의료인력확충 공동행동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24
918 삼성에버랜드노조, 노조탄압산재 인정받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25
917 코로나19확진노동자들, 퇴자자 20%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26
916 롯데택배노동자들, 배송수수료원상회복·상하차비폐지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27
915 해고노동자들, 일자리위원회규탄 시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28
914 박이삼이스타항공노조위원장, 정리해고철회단식농성16일째 응급후송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29
913 현대기아차비정규직노동자들,불법파견문제해결 기습시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30
912 한국GM노조, 부분파업 다시 전개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0.31
911 서울대, 직위해제교수들급여 6억원 지급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10 이명박, 징역17년형 ... 추징금57억, 30일안에 납부해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9 택배노동자 과로사 .. 올해에만 15번째 사망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8 <40kg 조곡기준 벼수매가 8만원을 보장> ... 양구농민회기자회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7 주남미군공격기, 훈련중 발사체 투하 ... 발사체정보 은폐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6 경찰청앞 60시간비상행동 ... 〈반일행동탄압규탄! 친일친극우견찰청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5 태안화력, 산업안전보건사항 317건 위반 ... 책임자 형사입건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4 후쿠시마오염수방류, 인간DNA 손상될수도 ... <일본정부 오염수위험 축소하고 있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3 국내코비드19항체치료제, 6개유형방어효과 확인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2 미국 콜로라도주국립공원, 산불로 전면폐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1 스가, 첫국회연설에서 종전입장 되풀이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900 중국, 코리아전참전70주년 기념 ... 시주석 <영원히 패권주의·제국주의 반대할것>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899 미국무부, 대만에 2조400억원무기수출 승인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1
898 대전도시공사환경노조 … 11월총파업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7 전교조, 합법노조이후 <7년만에 단체교섭>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6 닥터스테판 <2020 미대선>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5 통일부, 10개월간 한강하구습지생태조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4 4.16세월호참사특별법개정, 국회청원 성립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3 <대한민국이 피고된 역사적인날> 제주4·3 첫 손배재판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2 롯데택배노사협상타결 ... 파업중단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1 한국GM노조 .. 부분파업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90 고속도로교각공사현장 <크레인 쓰러져 노동자사망>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9 시흥도로공사노동자 <음주운전트럭에 사망>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8 태영건설 <집행정지가처분신청> 영업정지효력중단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7 차별금지법반대기자회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6 이케아코리아지회 ... 쟁의행위돌입선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5 국토부 <전국건설현장안전점검>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4 대전을지대병원노조 ... 노사관계정상화투쟁선포기자회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3 이스타항공노조, 절반수준임금 타항공사채용 규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2 코스콤노조, 공공성 훼손한 사장퇴진 강조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1 충북돌봄노동자·교사들, 일방적인 초등돌봄확대정책중단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2
880 강사들, 강사법시행후 대량해고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9 WHO <북코리아, 코로나19확진자 0>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8 <후쿠시마오염수방류반대>결의대회·해상시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7 지하철무임수송비, 정부 절반이상부담여론 70%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6 또 과로사, 간선차노동자산재보험적용 절실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5 대리운전노동자들 <타다, 플랫폼노동문제대안 마련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4 학비노조, 돌봄교실지자체이관중단파업선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3 이케아코리아노조, 쟁의돌입 선포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2 현대중공업도장노동자들, 집단피부질환 발생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
871 한국MSD노동자들, 분사전단협체결 시위 file 진보노동뉴스 2020.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