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미국경제는 농업에서 상대적과잉생산으로 인한 재정위기에 처해있었지만 자동차와 전기, 건설업계를 기초로 도시의 산업에서 활황을 보였다.
1925~28 뉴욕의 통화정책으로 뉴욕연방준비은행(FRB)은 금리를 4%에서 3.5%로 인하하면서 1928 한해에만 600억달러의 통화가 미국각지은행들에서 방출됐다.
1929.8.9 연방준비제도(Fed) 금리를 6%로 올리고 증권거래업자들에 대한 금리를 20%로 인상했다.
증권업자들은 급격히 자금을 회수하는수밖에 없었다.
1929.10.24 <검은목요일> 뉴욕증권시장이 대폭락했다.
상품가격은 급락하고 실업자는 급증했으며 임금은 삭감됐다.
1929~33 총9755개의 은행이 도산했다.
한편, 독일은 1차세계대전배상금문제로 화폐발행량을 8.5배 증가시켰다.
1923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독일인들은 저축금을 다 꺼내쓸수밖에 없었다.
동시에 1924~31 금융자본은 독일에 전쟁배상금의 1.5배이상의 대출을 제공했다.
독일은 배상후 남은 자금으로 군수산업을 키웠다.
경제는 활성화되고 독일인들은 나치를 지지했다.
1928총선에서 12석에 불과했던 나치는 대공황을 예견하며 1930총선에서 107석으로 비약한다.
같은시기 공산당은 54석에서 77석으로 늘어나는데 그쳤다.
1933총선에서 나치의 의석은 288석까지 급증한다.
좌파정권을 두려워한 우파세력들은 1933.1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고 국회의사당방화사건을 조작해 공산당을 탄압했다.
히틀러는 1935 베르사유조약을 파기하고 유대인들의 재산을 몰수했다.
1939.9.1 독일의 폴란드침공으로 2차세계대전이 발발했다.
세계공황은 동아시아에도 영향을 미쳤고 일본의 아시아침략을 부추겼다.
군국주의일본은 1931.9.18 만주사변과 1937.7.7 노구교사건을 일으키며 조선지배에 이어 대륙침략을 본격화했다.

*기사제휴:21세기민족일보 

사진1.jpe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 “농민이 하늘이다!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 실시하라!” 생명평화대행진 넷째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11
20 “우리네 노동자들, 우리네 농민들 벌떡 일어나 세상을 바꾸자” 대행진 셋째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10
19 “그래서 함께 모인 것입니다” ... “성공예감” 생명평화대행진 둘째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08
18 “함께 걷자! 강정에서 서울까지!” 생명평화대행진 첫째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07
17 SKY대행진전야제 “너는 부서지고 깨어져도 나는 잊지 않는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05
16 “강정에서 서울까지” ... SKY생명평화대행진 오늘 전야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05
15 [코리아국제포럼] 꾸바혁명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진지한 토론의 장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5
14 [코리아국제포럼] 외국인참가자들 SKY공동행동 지지성명 발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4
13 [코리아국제포럼] “자본주의논리를 뛰어넘는 새로운 국제협력관계 구축”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1
12 [코리아국제포럼] “중남미경험의 교훈은 민중의 정치세력화”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1
11 [코리아국제포럼] “유럽경제위기의 본질은 자본주의 근본위기”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1
10 [코리아국제포럼] 외국인발표자들 SKY공동행동에 연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1
9 [코리아국제포럼] ‘청춘,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1
8 [코리아국제포럼] ‘평등을 위한 여성의 정치도전’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1
7 [코리아국제포럼] “우리의 투쟁으로 민중의 퍼펙트스톰을 일으키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0
6 [코리아국제포럼] 독일통일 경험에서 코리아의 분단과 통일의 교훈 찾아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0
5 [코리아국제포럼] “민중주권도 민족주권과 분리시킬 수 없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9
4 [코리아국제포럼] ‘민중주권’에 대해 세계적인 석학들과 토론하는 ‘제4회코리아국제포럼’ 개막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9
3 [코리아국제포럼] “국가는 민중권력을 실현하는 도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18
2 대선 앞두고 국내외 진보석학들 모여 '민중주권' 토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