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미국경제는 농업에서 상대적과잉생산으로 인한 재정위기에 처해있었지만 자동차와 전기, 건설업계를 기초로 도시의 산업에서 활황을 보였다.
1925~28 뉴욕의 통화정책으로 뉴욕연방준비은행(FRB)은 금리를 4%에서 3.5%로 인하하면서 1928 한해에만 600억달러의 통화가 미국각지은행들에서 방출됐다.
1929.8.9 연방준비제도(Fed) 금리를 6%로 올리고 증권거래업자들에 대한 금리를 20%로 인상했다.
증권업자들은 급격히 자금을 회수하는수밖에 없었다.
1929.10.24 <검은목요일> 뉴욕증권시장이 대폭락했다.
상품가격은 급락하고 실업자는 급증했으며 임금은 삭감됐다.
1929~33 총9755개의 은행이 도산했다.
한편, 독일은 1차세계대전배상금문제로 화폐발행량을 8.5배 증가시켰다.
1923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독일인들은 저축금을 다 꺼내쓸수밖에 없었다.
동시에 1924~31 금융자본은 독일에 전쟁배상금의 1.5배이상의 대출을 제공했다.
독일은 배상후 남은 자금으로 군수산업을 키웠다.
경제는 활성화되고 독일인들은 나치를 지지했다.
1928총선에서 12석에 불과했던 나치는 대공황을 예견하며 1930총선에서 107석으로 비약한다.
같은시기 공산당은 54석에서 77석으로 늘어나는데 그쳤다.
1933총선에서 나치의 의석은 288석까지 급증한다.
좌파정권을 두려워한 우파세력들은 1933.1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고 국회의사당방화사건을 조작해 공산당을 탄압했다.
히틀러는 1935 베르사유조약을 파기하고 유대인들의 재산을 몰수했다.
1939.9.1 독일의 폴란드침공으로 2차세계대전이 발발했다.
세계공황은 동아시아에도 영향을 미쳤고 일본의 아시아침략을 부추겼다.
군국주의일본은 1931.9.18 만주사변과 1937.7.7 노구교사건을 일으키며 조선지배에 이어 대륙침략을 본격화했다.

*기사제휴:21세기민족일보 

사진1.jpe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61 “농민이 하늘이다!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 실시하라!” 생명평화대행진 넷째날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11
60 “죽어서 조상님 뵐 면목이 없습니더” 생명평화대행진 8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59 “일상생활만 가능하게 해주세요” 생명평화대행진 9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58 “우리 스스로 우리문제를 풀자” 생명평화대행진 10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57 “2012생명평화행진과 함께 하는 민회(民會)에 모십니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6
56 “오늘 처음으로 현지사람들이 별로 없었어. 마음 아프데” 생명평화대행진 11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55 “세상은 할머니들이 다 꽈드라!” 생명평화대행진 12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54 “2000년대 이후 좌경용공논리 안 통해” 생명평화대행진 13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7
53 “우리가 간곳에서 다 왔잖아, 이렇게 연대해야 돼” 생명평화대행진 14-16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28
52 생명평화대행진, 29일 평택서 서울까지 수도권행진 출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51 ‘내가 원하는 세상, 내가 믿는 상식’ 생명평화대행진 17~18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50 “‘함께 살자’ 외치는 우리는 사회와 역사의 주역” 생명평화대행진 19~20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1
49 “못가겠어 ... 발걸음이 안떨어지네” 생명평화대행진 21~22일차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02
48 혁명의 두가지 형식 Art, Violence - 'ART VIOLENCE' 진보노동뉴스 2013.04.19
47 킬링에서 킬드로(From killing to Killed) - 'The Act of Killing' 진보노동뉴스 2013.04.19
46 적어도 대안정신은 이것이다 - 켄로치감독 'The Spirit of ’45' 진보노동뉴스 2013.04.19
45 ‘킬링’이 아닌 ‘힐링’을 - '진(Jin)' 진보노동뉴스 2013.04.19
44 프롤레타리아트의 희망 - '금(Gold)' 진보노동뉴스 2013.04.19
43 1%가 살 수 없는 99%의 마음 '약속된 땅(Promised Land)' 진보노동뉴스 2013.04.19
42 코리아반도의 전쟁정세와 새로운 평화보장체계의 가능성 file 진보노동뉴스 201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