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2주기인 16일, 민주노총은 <진실은 결코 침몰하지 않는다>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참사2년, 진실은 여전히 수면아래에 있고, 책임자들은 처벌받지 않았다. 9명의 미수습자는 가족들품에 들아오지 못했다.>며 <참사를 부른 자본의 탐욕은 여전하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지금도 위태로운 줄타기>라고 개탄했다.

 

이어 <참사이후2년이 지나는 동안 <진실을 인양하라>는 유가족과 노동자·민중의 목소리는 단 한순간도 그친 적이 없다.>며 <독립적인 기소권·수사권보장을 요구하는 유가족의 절규는 묵살됐고, 2014년 박근혜<정부>는 반쪽짜리 세월호특별법을 만들어냈다. 두차례의 청문에서 새루온 증언이 제기됐지만 여당의 반대로 조사기간연장 및 특별검사도입은 좌초위기에 놓였다. 새누리당은 참사2년이 지난 지금까지 단 한치도 달라지지 않았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OECD사망1위, 매년 2400명 산재사망, 메르스 사망자38명, 격리 1만6752명. 하루가 멀다하고 노동자와 국민이 죽어나가는 데에도 박<정부>는 눈하나 깜빡하지 않는다.>며  <위험의 외주화로 중대재해사망자40%가 하청비정규노동자지만, 원청의 산재책임강화주장에 <정부>는 화답은커녕 오히려 기간제·파견제노동자를 확대하는 법안을 내놓는 지경이다. 기업의 이윤만 확대하는 규제완화를 더욱 거세게 밀어붙이고 있다. 이게 정부가 할 짓인가.>고 성토했다.


계속해서 <광화문, 안산, 팽목항. 눈물은 그치지 않았고 함성은 멈추지 않았다.>며 <민주노총은 유가족의 고통과 희망 모두 끝까지 함께 할 것이며 마침내 진실을 인양하고 책임자처벌을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권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민주노총 〈공무원연금 개악 끝까지 저지할 것〉 file 김진권기자 2015.05.05 841
123 민주노총, 〈단협개악강요〉 이기권노동부장관 직권남용죄 고발 file 유하은기자 2015.04.20 990
122 민주노총 〈〈세월〉호참사1주기 ... 4.24총파업으로 노동자들 분노 분출될 것〉 file 김진권기자 2015.04.16 926
121 민주노총 〈성완종리스트는 박근혜게이트, 퇴진만이 답〉 file 김동관기자 2015.04.15 806
120 민주노총, 84.35% 찬성으로 4.24총파업 선포 file 유하은기자 2015.04.14 792
119 민주노총, 비정규노동자 2015요구안 및 투쟁계획 발표 file 김동관기자 2015.04.07 1004
118 민주노총, 총파업4대요구수용 대통령결단 촉구 file 유하은기자 2015.03.26 836
117 민주노총 〈박〈대통령〉, 공공부문비정규직 정규직화 약속 지켜라〉 file 김동관기자 2015.03.24 906
116 민주노총, 21일 4월총파업 총투표 돌입 file 유하은기자 2015.03.20 810
115 민주노총, 〈최저임금 1만원〉 요구 file 유하은기자 2015.03.14 819
114 민주노총, 2015년 임금 23만원 정액인상 요구 file 유하은기자 2015.03.05 1085
113 양대노총 〈박〈정권〉 반노동자정책에 맞서 노동계 힘을 합쳐 저지하자〉 file 유하은기자 2015.03.03 957
112 민주노총, 노동자·서민살리기 2015 총파업투쟁 선언 ... 박〈대통령〉 단독회담 요구 file 유하은기자 2015.02.25 773
111 민주노총, 대의원대회에서 4월선제총파업 결의 file 김진권기자 2015.02.13 1059
110 민주노총 중집, 〈4월총파업〉 만장일치 결의 file 김동관기자 2015.02.02 830
109 민주노총 한상균집행부, 사무총국신임인사 내정 file 김동관기자 2015.01.20 1099
108 민주노총, 5일 시무식 열고 박근혜〈정권〉에 맞선 총파업투쟁 결의 file 김진권기자 2015.01.06 804
107 민주노총 한상균지도부 신년사 〈노동자의 단결로 세상을 바꾸자〉 file 김동관기자 2015.01.02 930
106 민주노총 한상균신임집행부 〈박근혜〈정권〉의 폭주, 총파업투쟁으로 막아내겠다〉 file 유하은기자 2014.12.31 918
105 민주노총, 내년 2월12일 정기대대 개최 file 김진권기자 2014.12.29 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