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노동시장구개악관련 노동부장관의 기자간담회에 대해 <쉬운 해고제(일반해고) 도입, 억울하며 소송하라는게 정부대책인가>라며 <해명을 하자는 것인지 불을 지르겠다는 것ㅇ니지 분간할 수 없는 기자간담회>라고 비판했다.

 

지난 주말 정부는 한국노동연구원을 앞세워 <직무능력사회정착을 위한공정한 인사평가에 기초한 합리적 인사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더 쉬운 해고제 도입을 기정사실화하는 한편 사회적 분위기를 몰아가려는 언론플레이라고 비판이 일었고 이에 이기권노동부장관은 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해명했다.

 

이장관은 <정부가 추진하려는 취업규칙불이익변경요건 완화나 일반해고기준마련은 사용자일방을 위한 임금삭감이나 쉬운 해고정책이 아니>라며 <자신들이 원하지 않는 것을 논의조차 하지않겠다는 것은 바른 자세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3일 논평을 통해 <(이장관은) 노동계의 우려는 지나치다고 주장했으나 전반적으로 해명의 뚜렷한 근거는 없었고 반복적인 강변만 할 뿐>이라고 일축했다.

 

특히 <취업규칙개악과 쉬운해고우려를 불식시킬 대책은 뭐냐는 질문에 대한 장관의 대답은 너무도 기가 막혔다.>며 <노동계가 우려하는 문제가 발생하면 나중에 소송을 통해 보상받으면 된다는 것이 정부대책의 전부였댜. 억울하면 재판하라는 것인데 이걸 해명이고 대책이랍시고 내놓은 것인지 놀라울 따름>이라고 꼬집었다.

 

또 직무성과급중심의 인사관리시스템에 대해서도 <<일한만큼 보상받게 해달라>는 국민의 바람과 등치시키는 발상도 허무맹랑하다.>며 <일한만큼 보상해주고 능력만큼 제대로 대접해달라는 노동자들의 요구를, 직무와 능력평가를 활용한 임금을 차별하고 저평가자를 색출해 해고까지 하라는 말로 왜곡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동관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민주노총 〈일방적인 일자리위원회구성은 심각한 문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5.19 656
223 민주노총, 12~17일 〈노동개악분쇄 총력투쟁〉 전개 file 김진권기자 2015.10.13 656
222 양대노총, 최저임금위원회 불참...7일 최종입장결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01 647
221 민주노총 ˂일자리수석은 노동개선가능한 사람이 되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5.26 642
220 민주노총 〈지금은 도둑잡을 때!〉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5.27 642
219 민주노총,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게 노동정책제안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03 640
218 양대노총, 국제노총사무총장기자회견 개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5.30 640
217 민주노총 〈노동존중세상으로 한걸음 더〉 농성돌입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5.29 639
216 민주노총, 사회적 총파업방침 최종확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01 630
215 양대노총, 최저임금법장애물 자유한국당 규탄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07 623
214 민주노총 ˂촛불이 들불되어 박근혜를 끝장낼 것˃ ... 전국 22만 총파업참여 file 진보노동뉴스 2016.12.05 610
213 양대노총-야당국회의원, 박근혜 적폐 노동개악 폐기·부역자 청산 촉구 file 진보노동뉴스 2016.12.14 605
212 민주노총 〈노사정위, 오로지 박〈정권〉의 노동개악 밀어붙이기 위한 거수기〉 file 김동관기자 2015.11.16 599
211 민주노총, 하이디스자본의 횡포는 정부책임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16 594
210 민주노총 〈한국당·조동문·종편은 박근혜·적폐주역세력〉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08 563
209 민주노총, 일자리위원회참여 결정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09 530
208 양대노총, 최임위 3차전원회의부터 참석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14 514
207 민주노총, 단위사업장대표자결의대회 개최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6.15 505
206 민주노총 〈7.4남북공동성명정신 맹렬히 전개할 것〉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7.04 501
205 민주노총〈한국마사회경영진 즉각퇴진!〉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8.02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