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문앞 쌍용자동차분향소가 철거될 위기에 놓였다.

 

지난 14일 서울시와 남대문경찰서, 중구청이 모여 대책회의를 열고 자진철거를 유도하되 자진철거하지 않을 경우 강제철거를 집행한다는 합의를 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15일 서울시 중구청이 대한문앞 농성장을 철거할 것을 결정하고 계고장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대한문앞 쌍용차분향소는 지난 4월 설치된 장소로, 쌍용차사태의 희생자들을 위한 분향소일 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정리해고노동자들의 상징적인 투쟁현장이 되었다.

 

현재 강정마을, 용산참사유가족 등이 SKY투쟁을 진행하고 있는 ‘함께살자 농성촌’도 이곳에 터를 잡았다.

 

쌍용차분향소는 설치될 당시부터 남대문경찰서로부터 불법집회장소로 규정돼 여러 번 강제철거시도를 당했으며, 이 과정에서 쌍용차희생자들의 영정이 쓰레기차에 실리는 등 갈등이 빚어진 바 있다.

 

중구청은 이번 철거집행에 대해 “자진철거할 수 있도록 시간적 여유를 줄 것”이라면서도 “시간이 지나면 철거할 것”이라며 관계기관대책회의를 통해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강제철거는 최후의 수단이고 그 전까지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도로교통법상 불법점유시설이기 때문에 철거가 불가피한 것은 사실이지만 쌍용차분향소가 지니는 의미를 고려했을 때 강제철거는 되지 않도록 중구청과 입장을 조율중”이라며 “자칫 제2의 용산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대화와 합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울시 역시 쌍용차분향소에 대해 불법시설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쌍용차분향소에 적용되는 법은 2가지”라며 “쌍용차측이 집회신고를 냈기 때문에 집시법은 위반이 아니지만 도로교통법상은 위법”이라며 “불법도로점용의 선례로 남겨둘 수는 없다”고 거듭 말했다.

 

지난 5월 서울시와 중구청, 쌍용차노조가 천막 1개동설치에 합의했지만, 지금은 몇동의 천막이 더 설치됐다며 이를 용인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반면 쌍용차지부는 “법원에서도 인정한 집회장소고 천막도 집회용품으로 신고돼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강제철거를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들은 “대한문분향소는 조선이나 보수언론이 말하는 불법의 공간이 아닌, 합법적인 공간”이라며 분향소가 합법적 공간임을 강조했다.

 

강주명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 쌍용차해고노동자, 또다시 노숙 농성돌입 ... <노동블랙리스트, 손배가압류 당장 멈춰라!˃ file 진보노동뉴스 2017.01.12 19
114 용산참사유가족 “박근혜, 언제까지 침묵하고 외면할 건가” file 진보노동뉴스 2013.01.25 99
113 “강정에서 서울까지” ... SKY생명평화대행진 오늘 전야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05 148
112 SKY대행진전야제 “너는 부서지고 깨어져도 나는 잊지 않는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05 149
111 “2012년 반드시 쌍용차문제 해결하자”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7.22 176
110 [코리아국제포럼] 외국인발표자들 SKY공동행동에 연대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1 218
109 [기획] 함께 살자, 쌍용차 1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7.27 221
108 16일 ‘용산참사’ 4주기 추모콘서트 열려 file 진보노동뉴스 2013.01.17 230
107 [코리아국제포럼] 외국인참가자들 SKY공동행동 지지성명 발표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9.24 246
106 용산참사구속자 5인 출소 ... "용산참사 진실 곧 밝혀질 것” file 진보노동뉴스 2013.01.31 285
105 코리아국제포럼 : 쌍차, 강정, 용산을 지지하는 국제연대 file 진보노동뉴스 2013.04.10 414
104 [기획] 함께 살자, 쌍용차 4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06 418
103 [기획] 함께 살자, 쌍용차 3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8.04 469
102 SKY생명평화행진단, 대한문앞 ‘함께살자 농성촌’ 건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1.12 528
101 [기획] 함께 살자, 쌍용차 2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7.31 688
100 민노총위원장, “쌍용차해결에 ILO 나서야” 진보노동뉴스 2012.06.13 795
99 “쌍용차, 더 이상 죽음의 행렬 막아야” 진보노동뉴스 2012.06.11 865
98 야당 “쌍용차국정조사와 휴직자복귀는 별개” file 진보노동뉴스 2013.01.11 1072
97 쌍용차사태악화, 국가기관이 일조했다 file 진보노동뉴스 2012.10.30 1096
96 MB정권의 연쇄살인 ‘쌍용차22명의 죽음’ file 진보노동뉴스 2012.06.11 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