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칼럼 1959.1.1, 쿠바혁명

[글] 1959.1.1, 쿠바혁명

 
1959.1.1, 오늘은 쿠바혁명의 날이다.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라울 카스트로 등을 중심으로 하는 혁명가들이 무장투쟁을 벌여 이날 풀헨시오 바티스타군사독재정권을 붕괴시키고 쿠바혁명에 성공했다. 1956.11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82명의 망명자들은 멕시코에서 그란마호를 타고 쿠바에 들어와 시에라마에스트라산맥을 거점으로 유격투쟁을 전개했다. 1958년중반까지는 주체역량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가 그 이후부터는 공세로 전환해 산타클라라를 점령하고 마침내 아바나로 진입했다. 카스트로군대가 산타클라라에서 아바나로 진격할 때에는 전혀 공격을 받지않았으니 이미 승리가 확정됐던 셈이다. 

1959.2 쿠바의 총리가 된 피델 카스트로는 시에라마에스트라선언에 기초해서 민중민주개혁을 실시했다. 400헥타르이상의 토지와 공공시설·기업·회사가 국유화됐고 임대료와 전기료가 인하됐다. 동시에 바티스타정권의 살인·고문혐의자들이 민중재판을 받아 단호히 처벌됐다. 이때 미국으로 도망친 쿠바의 전기득권층은 미국을 등에 업고 미국과 함께 1961년 피그만침공사건을 일으켰다가 무참히 패배했다. 미국자본이 국유화되고 피그만침공이 실패하면서 쿠바-미국간의 군사적 긴장은 더욱 고조됐고 마침내 1962카리브해위기가 발발했다. 

1926.8.13에 태어나 현재까지 장수하고 있는 쿠바혁명의 최고리더 피델 카스트로는 1959~1976총리, 1976부터 국가평의회의장을 지내다가 2008.2에 동생 라울 카스트로에게 의장직을 물려줬다. 그리고 2011.4.20에는 피델이 가지고 있는 마지막공식직함인 공산당제1서기직까지 라울에게 넘겨주며 공식적으로 은퇴했다. 피델이 1953.7.26 몬카다병영을 습격하다 실패해 체포당한 후 한 “역사가 나를 무죄로 하리라”라는 변론은 너무나 유명하다. 약2년뒤 특별사면된 피델은 1955년 멕시코로 망명한다. 그리고 그해 7월 평생동지이자 혁명전우인 체 게바라를 만난다. 

체 게바라가 아르헨티나출신 혁명가라는 사실로도 잘 알 수 있듯이, 쿠바혁명에는 국제주의적인 지원이 적지않았다. 그런 만큼 쿠바혁명이 승리한 후에 쿠바가 다른 중남미나라들이나 멀리 아프리카·중동에서의 혁명을 지원하기 위해 체 게바라를 포함 수많은 군인·혁명가들을 파견한 건 결코 놀라운 일이 아니다. 피델과 체 게바라 사이에 자립경제노선에 대한 이견, 곧 소련중심의 코메콘(세브)에 들어가는 데 대한 견해차이가 있었지만, 이 둘이야말로 중남미를 대표하는 혁명가·국제주의자라고 평가하는데 동의하지않을 사람은 없을 거다. 소련동구가 붕괴되고 중국·베트남이 개혁·개방정책으로 우경화되고 있는 판에도 사회주의원칙을 견지하는 힘은 바로 피델과 라울이 존재하고 체 게바라의 정신이 살아있기 때문이다. 

조덕원
*기사제휴 : 21세기민족일보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