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아카이브 ~2019 민주노총 민주노총, 총파업4대요구수용 대통령결단 촉구

민주노총, 총파업4대요구수용 대통령결단 촉구

한상균 민주노총위원장이 취임후 처음으로 민주노총과 노동부장관의 면담이 이뤄졌다.


24일오후1시30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13층대회의실에서 진행된 민주노총 한상균위원장과 고용노동부 이기권장관의 면담은 20분가량 모두발언후 30분간 비공개로 진행됐다.


한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오는 길에 이대로는 못살겠다며 광고탑위에서 농성하고 있는 SK, LG 비정규직노동자들의 절규를 직접 들었는지 모르겠다>고 물으며 <오늘 민주노총은 정부가 강행하려는 노동시장구조개악과 비정규직 확산, 일반해고, 노동시간연장과 통상임금축소, 공무원연금개악 등 잘못된 노동탄압정책에 대해 엄중한 항의와 경고의 뜻을 장관께 직접 전달하고자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월25일 공표한 대정부요구안에 대해 <정부가 노동자들의 호소와 반대를 묵살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오는 3월31일까지 이전과 명백히 다른 전향적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며 <노동자를 탄압해서 권력을 지키려는 정권은 결국 국민의 저항에 부딪힐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노사정논의중단과 최저임금1만원인상에 대한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어 <노사정위합의만 종용할 것이 아니라, 전국민이 보는 방송을 통해 민주노총과 직접 만나 가계소득과 노동소득을 끌어올리는 방안에 대해, 소득불평등해소방안 등을 놓고 끝장토론을 해야 한다>며 <오늘 이 자리를 통해 민주노총의 단호한 입장과 총파업 투쟁결의가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전달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더불어 <오늘은 민주노총위원장과 이기권장관과의 첫대면이다. 이 자리가 박근혜<정부>의 반성이 시작되는 첫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오늘 이후에도 정부가 민주노총의 요구에 화답하지 않는다면 오늘 이 자리는 민주노총총파업투쟁의 마지막 통첩의 자리가 될 것>이라고 일침했다.


이 자리에서 민주노총은 총파업4대요구안인 △‘더쉬운 해고, 더낮은 임금, 더낮은 비정규직’ 노동자죽이기정책 폐기 △공적연금강화 및 공무원연금개악중단 △최저임금1만원 쟁취 △근로기준법 전면적용 및 노조법2조개정,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쟁취 등에 대한 노동부장관의 입장표명을 촉구했다.


이에 이장관은 <(노동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지향점은 같을 것>이라며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시장구조개선이 노동자를 힘들게 한다면 이 정부가 견딜수 있겠는가>라고 말하고 <정부의 뜻은 <청년일자리 마련, 기존일자리의 보장, 비용절감만을 위한 비정규직규모 축소>인데 민주노총과는 시각의 차이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팀에 노동부의 생각을 많이 전달하고 있다. 신뢰를 갖고 향후 많은 얘기를 나누고 접점을 찾아가자>며 <오늘 대화를 튼 만큼, 정책과 대화 시스템에 문제가 있더라도 추후 다채널로 대화해서 이견을 좁히고 오해를 줄이자>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이날 면담에서 지난 2월25일 요구한 대통령면담추진 여부와 2013년 12월 민주노총침탈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유하은기자


Exit mobile version